WHATWG(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 HTML 및 관련 기술 진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벤더와 개발자 커뮤니티 그룹. 모질라, 오페라, 애플, 구글 등이 주도)에서 HTML의 차기 핵심 표준을 만들기 위해 HTML5 개발 개시
2007년도 연혁
11월
표준화
월드와이드웹(www) 관련 국제 컨소시엄 W3C, WHATWG의 HTML5 표준화 작업에 참여하기로 결정
20072007-03
차기 HTML 개발을 위해 별도로 XHTML 개발에 주력하던 W3C가 HTML Working Group을 결성하여 WHATWG와 함께 본격적으로 HTML5 표준 개발에 착수
1월
표준화
W3C, HTML5 디자인 원칙 발표
20072007-11
W3C가 컨텐츠 호환성, 실용성, 상호 운영성, 보편적 접근성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HTML5 디자인 원칙(HTML5 Design Principles) 발표
2008년도 연혁
3월
표준화
W3C가 HTML5 표준 초안(First Public Draft) 공개
20082008-01
HTML5 표준의 초안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음
- HTML5 마크업 관련 표준화 내용
- 웹앱 개발에 필요한 웹 소켓·워커, Indexed DB 등의 표준화 내용
- 웹브라우저 기반의 일정 및 연락처, 카메라 등의 기능 구현
- 멀티터치, 펜-태블릿 입력 등의 기능 구현
2009년도 연혁
5월
주요 기업
MS, MIX08 컨퍼런스에서 최초로 HTML5 지원 IE 출시
20082008-03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 출시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8(IE 8)가 IE 제품 최초로 HTML5를 지원한다고 발표
7월
표준화
Google, I/O 행사에서 HTML5를 차세대 웹표준으로 소개
20092009-05
Google이 전 세계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I/O 개발자 연례 컨퍼런스에서 HTML5를 차세대 웹표준으로 소개해 HTML5에 대해 전 세계의 관심 집중
주요 기업
구글 I/O 행사에서 HTML5 강조
20092009-05
구글이 2009년 개발자 연례 컨퍼런스 'Google I/O 2009'에서 키노트 첫 번째 시간을 HTML5에 내주며, HTML5를 차세대 웹 표준으로 전면에 내세움
8월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3.5에서 HTML5 지원 개시
20092009-07
모질라 재단의 웹 브라우저 파이어폭스가 3.5 버전부터 본격적으로 HTML5 기술을 지원
- 3.0 버전부터 HTML5를 지원했으나 불완전하게 지원
10월
주요 기업
애플 임원, HTML5 워킹 그룹 공동 임원으로 선출
20092009-08
애플이 W3C의 HTML5 표준화 작업에 더욱 깊이 관여
W3C의 HTML5 표준화 워킹그룹 공동의장으로 애플의 웹킷 웹앱스개발팀 마씨에즈 스타코비악과 MS의 웹서비스 표준화팀 폴 코튼이 새로 선출됨
- 이때 W3C 공동의장은 3명으로서 IBM, MS, 애플 직원이 차지
1월
표준화
견해 차이로 W3C와 WHATWG가 각각 독자 노선을 취하기로 결정
20092009-10
HTML5 표준화에서 공동 작업을 추진해 오던 W3C와 WHATWG가 표준 개발에 대한 견해 차이로 각자 개발에 나서기로 함
- W3C : 완결된 형태(finished)의 HTML5 표준개발 진행
- WHATWG : HTML5 관련 기술의 정의 및 버그 수정 등 필요에 따라 수정 및 보완 가능(Living Standard)한 표준개발 진행
주요 기업
구글 웹 브라우저 Chrome, HTML5 비디오/오디오 지원
20092009-10
구글은 2008년 9월(첫 베타 버전)과 12월(정식 버전), 자체 웹 브라우저 Chrome을 출시했으며, 2009년 10월 버전에서 HTML5 비디오/오디오를 정식 지원
2010년도 연혁
3월
주요 기업
유튜브, 플래시가 필요없는 HTML5 비디오 재생 시범 서비스 실시
20102010-01
유튜브, 동영상 재생 방식을 별도의 플래시 설치가 필요없는 HTML5 플레이어 채택
- 어도비 플래시 기술은 HD급 동영상을 재생할 경우 중앙처리장치(CPU)의 처리능력을 절반 가까이 잠식하지만, 선택형으로 제공되는 HTML5 기능을 활용할 경우 적은 컴퓨팅 자원으로도 고화질의 동영상 구현 가능
4월
주요 기업
어도비, HTML5와의 일방적 경쟁 일축
20102010-03
어도비가 HTML5 기반 웹사이트 디자인 내용을 다루는 블로그를 개설하는 등 HTML5 기술 지원
5월
주요 기업
아이패드, 내장 HTML5 비디오 기술로 동영상 지원
20102010-04
애플은 그 동안 아이폰과 아이팟에서 플래시를 통한 동영상을 지원하지 않았으며, 이번에 새로 출시하는 아이패드에도 역시 같은 방식으로 플래시 동영상은 지원하지 않고 HTML5 비디오만 지원
주요 기업
스티브 잡스, '플래시에 대한 단상' 게재
20102010-04
애플이 플래시를 무시하고 HTML5를 자사 기술전략의 차별점으로 부각
애플 CEO 스티브 잡스는 어도비의 플래시가 폐쇄적이며, 신뢰성과 보안에서 문제가 있으며, 단말 배터리 성능을 약화시킨다는 등의 이유로 플래시보다 열린 표준인 HTML6를 자사 미래 전략기술로 채택한다고 언급
8월
주요 기업
Chrome 브라우저, HTML5 지원 부문 대폭 확대
20102010-05
2010년 5월에 출시된 Chrome 5.0 버전에서 위치정보 API, 앱 캐시, 웹 소켓, 파일 드래그 & 드롭 등에서 HTML5 지원
9월
주요 기업
동영상 코덱 H.264 무료로 전환
20102010-08
유료 기술이라는 이유로 HTML5 표준으로 채택되지 않았던 H.264 코덱이 완전 무료로 전환
- H.264 동영상 코덱은 동영상 기술 특허 관리 단체 MPEG LA가 그 동안 유료로 제공해 왔으나, 구글의 웹M 등 무료 동영상 기술들이 나타남에 따라 완전 무료로 전환
10월
주요 기업
웹표준 방송콘텐츠 개발툴 출시
20102010-09
브라우저 개발업체 오페라 소프트웨어가 2010년 9월 개최된 '국제 방송 컨벤션(IBC)'에서 오페라 디바이스 SDK 2.8 버전 출시
- 해당 SDK 버전에서는 HTML5 동영상 재생, 유럽 하이브리드 방송 표준인 HbbTV와 실시간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지원
주요 기업
소셜 게임업체 징가 HTML5 기술 업체 인수
20102010-09
세계 최대 소셜 게임업체 징가가 독일계 HTML5 기반 게임 개발업체 '덱스트로스'를 인수
- HTML5 표준 기반 기술에 투자해 모바일 게임시장에 승부수를 띄웠다는 분석 제기
11월
표준화
W3C, HTML5 표준 초안(Working Draft) Last Call 시행
20102010-10
HTML5 표준 초안 관련 약 200개의 버그와 25가지 이슈에 대한 개발자 의견 수렴
주요 기업
오페라, 브라우저에 웹 표준 기반 확장 기능 제공
20102010-10
오페라 소프트웨어가 차기 웹 브라우저에 웹표준 기반 확장 기능 제공
- 오페라가 웹표준 컨퍼런스 '업 노스 웹'에서 차기 11버전에 확장 기능을 탑재할 것이라고 밝힘
- 오페라의 지원으로 개발자들은 HTML5와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확장 가능
12월
표준화
W3C, HTML5 Korea Interest Group 신설
20102010-11
HTML5 표준개발 관련 한국 개발자들의 Interest Group을 신설해 요구사항 분석 및 향후 응용 확장 관련 논의 시작
2011년도 연혁
2월
주요 기업
구글, 스마트TV 웹개발자 확산 시동
20112011-02
구글이 자사 인터넷TV 플랫폼 확산을 앞당기기 위해 외부 개발자들을 위한 웹개발툴을 공개
- '구글TV'에 알맞은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한 오픈소스 템플릿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라이브러리를 출시
- 웹개발자들은 구글TV 화면에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디자인하고 구축하는 노력을 아낄 수 있다. 템플릿을 사용하면 HTML5, CSS, 자바스크립트, 플래시에 기반한 구글TV용 웹사이트를 제작 가능
3월
주요 기업
오페라, 인터넷 TV용 웹 기반 SDK 공개
20112011-02
브라우저업체 오페라소프트웨어가 TV셋톱박스에서 실행 가능한 웹표준 소프트웨어(SW)를 만드는 브라우저 기반 SW 개발도구(SDK)를 출시
- 이번 오페라 디바이스 SDK 2.9 버전에는 2010년 9월 선보인 2.8 버전에 애플리케이션 캐시, 웹워커, 웹스토리지 등 HTML5 표준 기술지원을 추가
주요 기업
구글, 에이잭스 개발툴에 HTML5 지원 강화
20112011-02
구글이 HTML5 표준 기능을 강화한 에이잭스 기반 웹개발툴 '구글 웹 툴킷(GWT)' 2.2 버전을 공개
- GWT 2.2 버전에 추가된 HTML5 기능을 통해 동적인 2D 이미지나 도형을 만들 수 있는 '캔버스' 요소를 만들거나 플러그인 없이 음성, 영상을 집어넣는 '오디오' 및 '비디오' 태그 사용 가능
5월
주요 기업
MS, HTML5 기반 게임 및 음악 콘텐츠 개발 대회(Dev : unplugged) 개최
20112011-03
출시 예정인 인터넷 익스플로러(IE) 9 및 HTML5 확산의 가속화
- HTML5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UI),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조합한 게임 및 음악 콘텐츠 제작
주요 기업
MS, HTML5 지원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 9 출시
20112011-03
웹 표준을 준수한 브라우저를 통하여 개발자 및 사용자에게 최적의 웹 경험 제공
HTML5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개발 가능
- HTML5 표준 코덱(H.264)을 통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설치 없이, 동영상 및 음악 재생 가능
- HTML5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를 지원하여 위치기반 웹앱서비스 개발 가능
6월
표준화
W3C, HTML5 표준 초안(Working Draft) Last Call 종료
20112011-05
W3C의 HTML5 표준 초안 Last Call의 이행 내역은 다음과 같음
- Cutoff for bugs to be considered as pre-LC feedback
- All bugs filed by cutoff date addressed by editor
- Cutoff for escalating bugs for pre-LC consideration - all issues in tracker, calls for proposal issued by this date
- Every issue has at least one Change Proposal
- All calls for counter-proposals complete
- All issues resolved; LC resolution presented to group
- Fixable LC objections addressed; if all goes well, LC resolution carries
주요 기업
MS,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스카이드라이브’에 HTML5 기술 적용
20112011-06
웹페이지 체감 속도 향상 및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HTML5 기반의 스카이드라이브 웹페이지 제작
- HTML5 표준 레이아웃 및 비디오 코덱(H.264) 적용
- MS Word, Excel 등의 문서를 별도로 다운받지 않아도 웹페이지 에서 열람 가능
7월
주요 기업
iOS 생태계를 벗어나기 위한 Spartan Project 발표
20112011-06
애플이 자사의 앱스토어의 강력한 앱 규제 및 영향력을 발휘하자 페이스북이 이에 대한 반발로 앱스토어 대안 마련
- iOS용 페이스북 앱을 애플 앱스토어가 아닌 애플 ‘사파리’ 웹 브라우저의 모바일 버전에서 구동
- 앱 개발자는 80명 이상이며 징가, 허핑턴 포스 등이 참여
- 2012년6월에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iOS, 안드로이드 등)용 앱들도 모두 포함하는 형태의 웹 기반 스토어인 페이스북 앱 센터 런칭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HTML5로 PDF 파일 뷰어 제공
20112011-06
파이어폭스 사용자는 별도 프로그램을 깔지 않아도 어도비의 문서 형식 'PDF' 파일을 열어볼 수 있게 됨
- 모질라 재단이 HTML5와 자바스크립트만 써서 PDF를 처리하는 기술 'pdf.js'을 개발
- 이 경우 별도의 플러그인 설치 없이 PDF 파일을 HTML5와 자바스크립트만으로 열 수 있게 됨
8월
주요 기업
애플의 폐쇄적인 전자책 시장 전략에 HTML5 기술로 대응
20112011-07
전자책 결제 방식을 놓고 애플에 한 발짝 물러섰던 아마존이 앱스토어 대안으로 HTML5 기반 모바일웹을 준비
- 아마존을 비롯한 반스앤노블, 코보 등 해외 유명 온라인서점들은 2011년 7월, 폐쇄적인 애플 앱 내 구매(IAP) 정책에 맞춰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iOS 단말기 전자책 앱에서 '구매하기' 단추를 삭제
- 또한 아마존은 다른 업체들과 함께 애플의 iOS에 통제되는 네이티브 앱 방식이 아닌 HTML5 기반의 모바일 웹을 개발할 방침
통계
2016년 미국 HTML5 기반 웹 서비스 시장 규모, 2016년 766억 2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
20112011-07
시장조사기관 Forrester Research는 HTML5 기반 미국 웹 서비스 시장 규모가 2011년 344억 5,70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8.4%씩 증가해 2016년 766억 2천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9월
통계
HTML5 기반 웹 앱의 성장, 애플 이익 30% 감소
20112011-09
시장조사기관 Bernstein Research은 HTML5 기반 웹 앱 시장의 성장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마진폭을 줄이며, 애플의 영업이익을 30%까지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
주요 기업
어도비, HTML5를 활용한 웹 애니툴 '어도비 에지' 공개
20112011-08
어도비는 플래시가 아닌 HTML, CSS, 자바스크립트 기술로 웹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출시
- HTML5 기반 양방향 웹 애니메이션 디자인툴 '어도비 에지(Edge)'를 공개 시험판(public preview)으로 공개
- 어도비 에지는 HTML5와 같은 웹표준 기술을 통해 웹상의 애니메이션에 필요한 움직임과 전환 효과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
10월
주요 기업
어도비, HTML5 투자액 2배 증가
20112011-09
어도비가 'HTML5'를 집중 투자 대상으로 지목
- 웹표준 HTML5가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개발, 공급 기술 분야에 끼치는 영향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
11월
주요 기업
페이스북, HTML5 리소스 센터 오픈
20112011-10
HTML5를 확산하여 폐쇄된 형태의 독점적 앱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기존 모바일 사업자들의 플랫폼 와해 시도
- 웹개발자들이 HTML5 웹애플리케이션 제작, 테스트 및 배포 지원(아울러 HTML5 블로그, HTML5 개발자 그룹도 개설)
- 개발자들이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HTML5 웹앱을 만들고 데스크톱, 모바일 등 여러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기술 제공
- 데스크톱용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를 기본 지원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IE) 9, 8 버전에 MS가 제공하는 웹개발도구 'F12 디벨로퍼 툴'을 설치한 환경도 가능
- HTML5 개발자 간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공간 제공
주요 기업
아마존, HTML5 기반 킨들 클라우드 리더 출시
20112011-10
아마존이 이용자들의 다양한 브라우저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HTML5 기반의 킨들 클라우드 리더 출시
아마존 킨들 리더는 아마존의 95만 권 전자책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는 웹 앱
- 이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웹으로 전자책을 읽거나 혹은 오프라인 기반 독서를 할 때 브라우저 환경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자동으로 자연스럽게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지원
12월
주요 기업
MS, HTML5 기반의 빙(Bing) 모바일앱 출시
20112011-11
HTML5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검색 및 카메라 등의 각 기능이 다양한 플랫폼에 걸쳐 동일하게 작동되도록 일관성 제고
HTML5 기반의 지도, 실시간 교통정보, 검색 히스토리 등의 기능 제공
통계
HTML5 지원 모바일 단말 판매량 2013년 10억 대에 달할 전망
20112011-02
시장조사 기관 Strategy Analytics는 전 세계적으로 HTML5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이 2011년 3억 3,600만대에서 2013년 약 10억 대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
주요 기업
어도비, 모바일용 플래시 플레이어 개발 중단 선언
20112011-11
모바일 플랫폼에서 HTML5의 위상이 점차 높아지면서 어도비가 결국 독자 SW 개발 노선을 포기하고 재빨리 HTML5 노선에 합류
어도비가 자사의 모바일용 플래시 플레이어를 11.1 버전 이후 추가 개발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
2012년도 연혁
1월
주요 기업
MS, 웹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한 HTML5 기반의 게임 제작
20122012-01
HTML5 기술을 총동원한 웹앱을 제작하여, 차세대 웹 표준 대응전략 제시
인기 게임앱 '컷더로프(Cut the Rope)'를 웹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한 HTML5 기반의 웹게임으로 제작
주요 기업
오페라 TV 스토어 출시
20122012-01
오페라 소프트웨어사가 스마트TV에 HTML5 기반 웹 앱을 제공하는 전문 TV 앱 스토어 'Opera TV Store' 출시
- 동영상, 음악, SNS, 게임, 뉴스 & 정보 등의 카테고리를 통해 TV 풀스크린을 지원하는 다양한 웹 앱을 제공
2월
주요 기업
페이스북, MWC(Mobile World Congress) 2012에서 HTML5 계획 발표
20122012-02
브렛 테일러 페이스북 최고기술책임자(CTO)는 MWC 2012 기조연설에서 모바일웹에 대한 계획 공개
- 페이스북은 모바일웹 환경 개선을 위해 모바일 앱을 홍보하는 채널을 마련하고 모바일 브라우저 파편화를 해소하기 위해 HTML5 지원
3월
표준화
W3C, HTML5 표준 초안(Working Draft)의 10개 항목 수정
20122012-03
다음 10개 부문 수정
- The HTML5 specification
- HTML5: Edition for Web Authors
- HTML5 differences from HTML4
- HTML Microdata
- HTML Canvas 2D Context
- HTML5: Techniques for providing useful text alternatives
- Polyglot Markup: HTML-Compatible XHTML Documents
- HTML to Platform Accessibility APIs Implementation Guide
- HTML: The Markup Language
9월
주요 기업
페이스북 CEO 마크 주커버그, ‘HTML5 올인은 최대 실수’ 발언
20122012-09
페이스북은 2년간 개발한 HTML5 기반 앱이 속도 저하 등의 문제로 사용자로의 강한 반발 야기
- 주커버그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테크크런치 디스럽트' 행사에 참가해 "지난 2년간 가장 큰 실수는 네이티브 앱 대신에 HTML5에 너무 많이 주력(betting)했다는 것이라 생각한다. HTML5는 아직 준비된 기술이 아니다"고 언급
10월
표준화
W3C, HTML5 표준 초안(Working Draft)의 9개 항목 재수정
20122012-10
다음 9개 부문 수정
- The HTML5 specification
- HTML5: Edition for Web Authors
- HTML5 differences from HTML4
- HTML Microdata
- HTML Canvas 2D Context
- HTML5: Techniques for providing useful text alternatives
- Polyglot Markup: HTML-Compatible XHTML Documents
- HTML to Platform Accessibility APIs Implementation Guide
- HTML: The Markup Language
11월
주요 기업
애플, HTML5 웹 업체 파티클 인수
20122012-10
애플이 HTML5 웹 및 웹앱 디자인 전문회사 '파티클'을 인수
- '파티클'은 HTML5 핵심엔진을 가지고 있는 점과 함께 그동안 애플은 물론 구글, 모토로라, 아마존, 야후, 소니 등을 위해 HTML5 작업을 해 왔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벤처 기업
- 가벼운 임베디드 앱 세계를 움직일 엔진 확보가 목적이었을 것으로 풀이
12월
주요 기업
어도비, 플래시 대신 HTML5로 전략 수정
20122012-11
어도비가 '멀티디바이스' 또는 'N스크린' 대응전략의 중심에서 플래시를 거두고 차세대 웹표준을 활용하는 개발생태계 만들기에 집중하기로 선언
- 2011년 7월에 공개한 HTML5 기반 양방향 웹 애니메이션 디자인툴과 이를 포함하는 웹기술 개발도구모음 '어도비 에지(Edge)'가 새로운 전략의 핵심
표준화
W3C, HTML5 후보 표준안(Candidate Recommendation) 발표
20122012-12
HTML5 후보 표준에 대해 다양한 웹브라우저와의 호환성 제고 및 실행성 확장을 위한 테스트 단계 돌입
2013년도 연혁
1월
통계
HTML5가 네이티브 앱을 따라잡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경쟁력은 '최신 네이티브 API에 대한 액세스'가 첫 번째로 조사됨
20132013-01
개발자 전문매체 Developer Economics가 개발자들을 상대로 2013년 1월 조사한 바에 따르면, HTML5가 현재 시장의 주력인 네이티브 앱을 따라잡기 위해 갖추어야 할 경쟁력으로 '최신 네이티브 API에 대한 액세스'가 35%의 응답율을 보여 가장 중요한 구비 요건으로 선정됨
- '양질의 개발 환경(34%)', 'HTML5에 최적화된 단말(30%)', '더욱 빠른 표준화(22%)' 등이 그 뒤를 따름
통계
개발자들의 가장 큰 향후 HTML5 도입 이유는 크로스 플랫폼 적용(56%)
20132013-01
개발자 전문매체 Developer Economics가 개발자들을 상대로 2013년 1월 조사(중복 응답 가능)한 바에 따르면, 향후 HTML5를 도입하려는 이유로 '크로스 플랫폼 적용'이 56%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임
- 적은 개발 비용(51%), 크로스 스크린 적용(33%), 학습의 용이성(27%), 오픈 소스(25%), 쉬운 접근성(23%), 대규모 개발자 커뮤니티(19%) 등이 그 뒤를 따름
2월
주요 기업
LG전자, HP로부터 'WebOS' 인수
20132013-02
LG전자가 스마트TV의 소프트웽 생태계 강화를 위해 HP로부터 'WebOS' 사업 부문 인수
- LG전자는 계약 체결로 HP의 ‘WebOS’ 소스코드, 개발인력, 관련 문서 등을 인수하며, 또한 ‘WebOS’ 관련 특허 라이선스 계약도 체결
- 'WebOS'는 HTML5 기반의 웹킷을 사용하며, 표준 웹 기술인 HTML5와 CSS3 등을 지원
4월
통계
52%의 개발자, HTML5 플랫폼 통한 모바일 앱 개발
20132013-04
시장분석 기관 Vision Mobile이 지난 2013년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HTML5 플랫폼을 통한 개발 비중(중복 응답)은 2012년 6월 0%를 기록했으나, 2013년 1월에는 50%, 2013년 4월에는 52%로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남
5월
주요 기업
넷플릭스, 실버라이트 버리고 HTML5 선택
20132013-04
미국 온라인 DVD서비스업체 넷플릭스가 스트리밍 플랫폼을 실버라이트에서 HTML5 포맷으로 전환하기로 함
- 넷플릭스는 웹브라우저 플러그인 지원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에 사용되는 MS 실버라이트를 HTML5 비디오 포맷으로 전환하기로 결정
- 이는 2013년 3월 MS가 브라우저의 실버라이트 플러그인 지원을 2021년까지만 유지하겠다고 밝혀, 실버라이트의 대안을 찾아야 하는 입장이 됐기 때문
6월
통계
2016년 하이브리드 앱이 전체의 50% 이상 차지
20132013-06
시장분석 기관 Gartner는 2016년 네이티브 앱과 HTML5 기반 웹 앱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앱'이 전체 앱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7월
통계
2013년 7월, HTML5 플랫폼 통한 모바일 앱 개발 비중 52%, 도입 계획 21%
20132013-07
개발자 전문매체 Developer Economics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3년 7월 기준 모바일 개발자 중 HTML5 플랫폼을 활용해 앱을 개발하는 비중(중복 응답)은 52%에 달하고 있으며, 새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21%에 달함
통계
HTML5를 주로 개발하는 개발자들의 월 평균 수익은 2,900 달러 수준
20132013-07
시장분석 기관 Vision Mobile이 지난 2013년 7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HTML5 개발자들의 월평균 수익은 2,900 달러 수준으로 나타났음
- iOS 개발자의 월평균 수익은 5,200 달러, 안드로이드는 4,700 달러로 조사되어 HTML5 개발자들과 격차가 크게 나타남
10월
통계
2013년 7월, HTML5를 메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모바일 개발자 비중은 17%
20132013-07
개발자 전문매체 Developer Economics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3년 7월 기준 모바일 개발자 중 HTML5 플랫폼을 메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개발자 비중은 17%이며, Android 34%, IOS 33%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
통계
HTML5를 메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시간 및 비용 절약이 58%를 차지
20112011-07
시장분석 기관 Vision Mobile이 지난 2013년 7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HTML5를 메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개발자의 58%가 HTML5를 택한 가장 큰 이유를 '시간 및 비용 절감' 때문이라고 밝힘
-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개발자들이 '시간과 비용 절감'이 해당 플랫폼을 주로 활용하는 이유라고 응답한데 비해, iOS 개발자들만 유독 수익성(55%)이 주된 선정 이유라고 밝힘
11월
주요 기업
구글, 무료 HTML5 웹저작 도구 '구글 웹 디자이너' 공개
20132013-10
구글은 HTML5 기반 온라인 광고를 쉽게 제작해주는 웹저작도구 '구글 웹 디자이너' 베타버전을 공개
- '구글 웹 디자이너'는 배너광고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배너에 어도비 플래시처럼 화려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플러그인없이 구현할 수 있게 함
- '구글 웹 디자이너'는 어떤 플랫폼에서든 광고를 단순하게 게시할 수 있도록 지원
2014년도 연혁
1월
주요 기업
아마존 앱스토어, HTML5 웹앱 판매 개시
20142014-01
아마존이 자사 앱스토어에서 유료 HTML5 웹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유통 개시
- 아마존 앱스토어는 전자책 태블릿 '킨들파이어' 시리즈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아마존판 안드로이드 앱 장터
4월
통계
전 세계 데스크탑과 모바일 단말의 80% 이상이 HTML5 비디오를 지원
20142014-04
웹 비디오 전문 기업 JWPlayer가 웹 통계기관 StatCounter의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전 세계 80% 이상의 PC와 모바일 단말에서 HTML5 비디오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 전체 브라우저 시장의 33%를 차지하는 Chrome이나 파이어폭스(14%), IE 9 이상 버전(12%) 등은 HTML5와 플래시 비디오를 모두 지원하고 있음
- 반면 데스크탑에서 IE 8 이하 버전과 모바일에서 오페라 미니는 HTML5 비디오를 지원하지 않고 있음
표준화
W3C, HTML5 후보 표준안(Candidate Recommendation) 업데이트
20142014-04
W3C의 HTML 워킹 그룹이 HTML5 후보 표준안을 www의 핵심 언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완료
5월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에 HTML5 DRM 도입 계획 발표
20142014-05
비영리재단으로서 오픈 소스 기반 웹 브라우저 파이어폭스를 운영하는 모질라 재단은 그 동안 폐쇄적인 DRM 정책에 반대 입장을 표명해 왔음
그러나 넷플릭스 등 주요 콘텐츠 사업자들과 구글, MS 등 경쟁 브라우저 업체들이 HTML5에 DRM을 도입하는 트렌드를 강화함에 따라 수용하기로 함
- MS는 IE 11에, 구글은 Chrome에 W3C의 DRM 표준인 EME(Encrypted Media Extension, 암호 미디오 확장)를 전면 도입하기로 했으며, 넷플릭스 등 주요 콘텐츠 제공사들 역시 EME를 지지하는 추세
한편 그 동안 함께 DRM 도입 반대 진영을 구축해 왔던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 전자프론티어재단(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EFF) 등 오픈 소스 진영은 모질라 재단의 이번 방침에 대해 맹비난
6월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에 HTML5 앱 개발툴 장착
20142014-06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에 HTML, 자바스크립트, CSS 등을 편집할 수 있는 통합개발환경(IDE)이 추가됨
- 모질라는 웹IDE(WebIDE)란 이름의 IDE를 추가한 파이어폭스 나이틀리(nightly) 버전을 공개
- 웹IDE는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안에 내장돼 있다. 브라우저에서 웹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원격에서 파이어폭스OS에 앱을 설치하고 테스트할 수 있게 해 줌
- 오픈소스인 코드미러 에디터에 기반한 편집기를 포함하고 있어 HTML, 자바스크립트, CSS 코드 파일 편집도 가능
주요 기업
삼성, 타이젠 기반 스마트 TV 앱 개발 도구 공개
20142014-06
삼성전자가 2014년 6월, 미국 샌프란치스코에서 개최되는 타이젠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타이젠 운영체제 기반의 TV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도구(SDK) 공개
- 해당 SDK 베타버전은 HTML5 표준을 지원하며 이를 활용해 타이젠 운영체제를 탑재한 TV 에서 동작이 가능한 앱을 개발 가능
표준화
W3C, HTML5 표준 초안 Last Call 공표
20142014-06
W3C의 HTML 워킹 그룹이 HTML5 표준 초안 Last Call 공표. 7월 종료
7월
표준화
W3C, HTML5의 최종 초안 발표
20142014-06
W3C HTML5의 최종 초안 발표
- 당시 W3C는 HTML5의 표준화를 완료하지 못한 상태에서 미리 HTML5.1의 표준 완료 시점을 명시
- 이는 W3C가 HTML5의 표준화 일정 준수를 위해 HTML5에서 미처 마무리하지 못했던 내용을 HTML5.1에서 보완하겠다는 의미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에 'WebIDE' 통합개발환경(IDE)을 탑재
20142014-06
Firefox에 'WebIDE' 통합개발환경(IDE)을 탑재
- WebIDE는 개발자들에게 Firefox 브라우저상에서 웹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WebIDE는 기출시된 IDE들과 비교하여 웹 앱 개발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앱 개발에 필요한 주요 기능들을 내장
8월
주요 기업
MS, HTML5 지원 웹 게임 공개
20142014-07
MS HTML5 지원 웹 게임 공개
- MS는 HTML5 지원 웹브라우저에서 작동하는 웹 게임 <The Settlers of catan>을 공개
주요 기업
Google, 'YouTube'에 접속시 자동 HTML5 동영상 플레이어 사용 조치
20142014-07
Google 'YouTube'에 접속시 자동 HTML5 동영상 플레이어 사용 조치
- 'YouTube'에 접속시 Chrome 및 Firefox 웹 브라우저 사용자들이 자동으로 HTML5 동영상 플레이어 사용하도록 조치
주요 기업
Adobe, HTML5 기반 동영상 제작 업데이트
20142014-07
Adobe HTML5 기반 동영상 제작 업데이트
- 당시 HTML5 동영상은 브라우저 별로 지원 가능한 코덱이 다르기 때문에 제작하기 번거로웠는데, Edge Animation CC는 확장자를 바꾸는 것만으로 모든 브라우저를 지원하도록 조치
9월
주요 기업
MS, 2016년부터 IE의 기술 지원 및 보안 업데이트를 중단 발표
20142014-08
MS 2016년부터 IE의 기술 지원 및 보안 업데이트를 중단 발표
- 2016년부터 IE의 기술 지원 및 보안 업데이트를 중단할 방침임을 발표하며 MS는 8월 12일 실시할 신규 업데이트를 통해 IE에서 구식 Java 플러그인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예정이라 발표
주요 기업
MS, Khronos Group 참여
20142014-08
MS Khronos Group 참여
- MS는 오래 전부터 자체적인 3D 그래픽 API(Direct3D)를 개발하여 OpenGL과 경쟁해 왔음
-하지만 대다수 경쟁 웹 브라우저 개발사들이 WebGL의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여서 MS 역시 WebGL에 대한 기술 주도권 확보 차원으로 Khronos Group(오픈소스 그래픽 기술 표준화 단체)에 참여
주요 기업
Google, Web Designer의 1.1 버전 업그레이드 추진
20142014-08
Google Web Designer의 1.1 버전 업그레이드 추진
- Google Web Designer 1.1 버전은 웹 컴포넌트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손쉽게 동영상, 이미지, 아이프레임 등을 배너에 삽입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등 HTML5 기반의 리치 미디어 광고 제작이 용이해짐
10월
주요 기업
Adobe, 'Adobe Primetime'에서 HTML5 기반 동영상을 지원
20142014-09
'Adobe Primetime'에서 HTML5 기반 동영상을 지원
- Adobe Primetime은 DRM을 업그레이드 하여 브라우저 내에서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HTML5 동영상을 전송
표준화
W3C, HTML5 권고안을 발표
20142014-09
웹페이지 체감 속도 향상 및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HTML5는 이전 버전인 HTML4.01 이후 15년 만에 업데이트 된 웹 표준 언어로 당시 MS, Mozilla, Google, Apple 등 주요 웹 브라우저 벤더들이 이미 HTML5 기능을 탑재한 브라우저를 배포하여 웹 생태계의 HTML5 도입이 진행되고 있었던 상황
주요 기업
Apple, 신규 iOS8 출시 ‘WKWebView’를 추가
20142014-09
Apple 신규 iOS8 출시 ‘WKWebView’를 추가
- WKWebView는 HTML5 기반 하이브리드앱의 실행 속도와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
11월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 H.264 코덱의 지원
20142014-11
Firefox H.264 코덱의 지원
- 이는 네트워크 벤더인 Cisco가 H.264(유료 라이선스 기반의 동영상 포맷) 동영상 코덱과 호환되는 오픈소스형 동영상 코덱 OpenH264를 공개한 덕분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 개발 개발자 에디션을 발표
20142014-11
Mozilla Firefox 개발 개발자 에디션을 발표
- Mozilla는 Firefox 출시 10주년을 기념하며 Firefox 개발 개발자 에디션을 발표
주요 기업
Apple, Safari 웹 브라우저에서 WebGL 지원
20142014-11
Apple Safari 웹 브라우저에서 WebGL 지원
- WebGL은 고성능의 HTML5 동영상 및 3D 그래픽을 지원하는 기술
- 모바일 생태계를 양분하는 Google과 Apple이 WebGL을 지원함으로써 써드파티 웹 개발자들 역시 비로소 멀티플랫폼 웹 앱 개발이 가능해진 상황
12월
표준화
W3C, "HTML5 Differences from HTML4" 공개
20142014-12
W3C "HTML5 Differences from HTML4" 공개
- 동 문서는 HTML4와 비교하여 HTML5에서 추가·변경·삭제된 요소 및 속성의 목록과 이유를 제시
2015년도 연혁
1월
주요 기업
Google, YouTube의 기본 동영상 플레이어를 HTML5로 설정
20152015-01
Google YouTube의 기본 동영상 플레이어를 HTML5로 설정
- 당시 YouTube는 자사 플랫폼 사용자의 HTML5 지원 웹 브라우저 이용률이 70%를 넘었다고 판단하고 기존 Flash 기반의 동영상 플레이어를 HTML5로 전면 전환하게 되었다고 설명
주요 기업
MS, Windows 10 탑재될 신규 브라우저 공개
20152015-01
Windows 10 탑재될 신규 브라우저 공개
- Spartan은 2016년 5월 Windows 10 정식 발매와 함께 'Edge'는 이름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
주요 기업
Mozilla, irefox 35버전 채팅 서비스 'Hello' 공개
20152015-01
Mozilla irefox 35버전 채팅 서비스 'Hello' 공개
- Hello는 WebRTC를 지원하는 Chrome, Opera 등 다른 웹 브라우저와의 화상채팅이 가능
2월
주요 기업
Google, Flash 기반 광고 HTML5 기반으로 자동 변환 조치
20152015-02
Google Flash 기반 광고 HTML5 기반으로 자동 변환 조치
- Google의 AdWords 등의 광고플랫폼에서는 일부 Flash 기반의 광고를 HTML5로 전환시켜 웹에 게재
3월
표준화
W3C, HTML5 보급확산 위해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플랫폼 출범
20152015-03
W3C HTML5 보급확산 위해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플랫폼 출범
- Google의 AdWords 등의 광고플랫폼에서는 일부 Flash 기반의 광고를 HTML5로 전환시켜 웹에 게재
5월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 38버전 DRM 기술 지원
20152015-05
Mozilla Firefox 38버전 DRM 기술 지원
- 과거 Mozilla는 DRM(디지털저작관리기술)이 인터넷의 개방성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자사 브라우저에서의 도입에 부정적인 의견 피력
- Firefox의 DRM 지원 시작은 대다수 경쟁 웹 브라우저들이 DRM을 지원하고, 주요 콘텐츠 프로바이더들이 DRM을 적용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Firefox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차별 받을 것을 우려한 결과
6월
표준화
W3C, W3Cx에 HTML5-part1 첫 강의 과정 개설
20152015-06
W3Cx에 HTML5-part1 첫 강의 과정 개설
- 동 강의는 총 6주차의 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프랑스 Côte d’Azur 대학의 Michel Buffa 교수가 진행
- W3C에 따르면, 동 강의 과정은 77,000여 명의 수강생을 견인했으며,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2015년 10월에 동명의 강의로 재개설
- 또한, 2015년 12월에는 HTML5-part2라는 명칭의 심화 학습 강의 과정을 개설
주요 기업
Facebook, 'React Native' 모바일 앱을 개발 방침
20152015-06
Facebook 'React Native' 모바일 앱을 개발 방침
- 'React Native'는 지난 3월 개최된 Facebook의 개발자 컨퍼런스 F8에서 공개된 JavaScript 기반의 개발 언어
- 'React Native'는 전용 툴을 이용해 컴포넌트의 크기나 위치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기 때문에 JavaScript 대비 프로그래밍 모델이 더 직관적이며 개발 속도도 빠르다는 특징을 보유
7월
주요 기업
MS, Edge Sliverlight와 AtiveX 등의 플러그인 미지원 발표
20152015-07
Edge Sliverlight와 AtiveX 등의 플러그인 미지원 발표
- 당시 MS는 Edge는 웹 생태계의 공통규약인 HTML5에 최적화됐으며 보안성을 담보하는 각종 솔루션을 반영하기 때문에 굳이 Sliverlight와 AtiveX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
주요 기업
Adobe, Flash를 악용한 대규모 해킹 사건 발생
20152015-07
Flash를 악용한 대규모 해킹 사건 발생
- 이탈리아의 해킹 프로그램 개발업체 Hacking-Team이 도리어 Flash를 악용한 해킹에 당하는 사건이 발생
- Hacking-Team의 해킹을 통해 유출된 자료는 400GB 분량에 달했으며, 동 자료에는 전 세계의 정부기관, 기업, 단체 등이 Hacking-Team과 주고받은 이메일 및 거래내역이 포함
- 이로 인해 웹 전문가들은 Adobe가 당장 Flash의 종식을 선언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난
- Adobe측은 당시 해킹에 사용된 취약점을 개선하는 패치를 빠르게 내놓았지만 이후 Flash에 대한 비난 여론은 웹 생태계에 HTML5 도입을 가속화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
통계
HTML5 기반 모바일 광고는 약 45억 개
20152015-07
HTML5 기반 모바일 광고는 약 45억 개
- Sizmek에 따르면, 2015년 1분기 기준 자사 광고주들의 Flash 기반 모바일 리치 미디어 광고 실행(Impressions) 건수는 약 54억 개 이상인 반면, HTML5 기반 모바일 광고는 약 45억 개 수준에 그친 상황
- 하지만 시행된 전체 Flash 기반 모바일 리치미디어 광고 중 98%에 해당하는 약 53억 개 이상이 디폴트(defaults) 상태로 게재된 것으로 확인
8월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에서 Flash 플러그인 임시 차단
20152015-07
Firefox에서 Flash 플러그인 임시 차단
- Mozilla는 이탈리아의 해킹툴 개발업체 Hacking-Team이 Flash를 악용한 해커에게 도리어 해킹 당하는 사건 이후, Flash의 보안 취약성을 이유로 모든 버전의 Flash를 Firefox에서 차단하겠다고 발표
- 이후 Flash 개발사인 Adobe가 보안 패치를 내놓자 패치가 적용된 Flash 버전에 대해서만 Firefox 지원을 재개
통계
HTML5을 사용 개발자 비중 2013년 33%에서 2014년 39%로 증가
20152015-07
HTML5을 사용 개발자 비중 2013년 33%에서 2014년 39%로 증가
- 또한, 모바일 앱 개발에서 HTML5 주요 기술로 활용할 것이라 답변한 개발자는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7%에 머물렀는데, 2015년 들어 그 2배인 14%로 증대
9월
표준화
W3C, HTML5 표준문서에 포함됐던 'Battery Status API' 개인정보침해 우려 대두
20152015-08
W3C HTML5 표준문서에 포함됐던 'Battery Status API' 개인정보침해 우려 대두
- Battery Status API란, 웹 사이트에 접근하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
- 프랑스와 벨기에에 소재한 공동연구팀은 Battery Status API가 단말의 배터리 정보를 지나치게 정밀하게 수집함으로써 이를 일종의 지문(fingerprint)처럼 이용하게 된다고 주장
주요 기업
Facebook, 자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내 HTML5 콘텐츠 게재 조치
20152015-08
Facebook 자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내 HTML5 콘텐츠 게재 조치
- 이로써 동영상 스트리밍 사업자 Vimeo 3D 이미지 포트폴리오 플랫폼 업체 Sketchfab 음원 공유 플랫폼 업체 SoundCloud 인터넷 라디오 사업자 iHeart 이미지 태깅 서비스 업체 ThingLink ▲인터렉티브 비디오 제작 서비스 업체 Interlude 슬라이드 비디오 플랫폼 업체 Sharalike 등 총 6개 콘텐츠 프로바이더의 HTML5 기반 콘텐츠가 Facebook에서 공유가 가능해진 상황
10월
주요 기업
Google, Chrome 웹 브라우저 NPAPI 지원 중단 발표
20152015-09
Chrome 웹 브라우저 NPAPI 지원 중단 발표
- NPAPI(Netscape Plug-i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웹 브라우저가 지원할 수 없는 보안, 인증, 결제 등의 기능을 동작 가능하게 하는 비표준 플러그인 기술이지만, 프로그램 간 충돌, 보안 취약성, 사용자경험 저해 등의 문제점을 야기
- 위와 같은 이유로 Google은 이미 2014년 9월부터 향후 Chrome에서의 NPAPI 지원을 중단할 계획이라 밝혀옴
주요 기업
MS, Edge VP9의 지원을 시작
20152015-09
Edge VP9의 지원을 시작
- 과거 MS는 IE 웹 브라우저에서 H.264라는 특허 라이선스 기반 유료 코덱을 주로 지원
- 당시 언론에서는 Google, Mozilla에 이어 MS 역시 자사 웹 브라우저에 VP9(오픈소스 동영상 코덱)을 지원함으로써 웹 표준 기반의 오픈소스 코덱 확산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
주요 기업
Google, ICT 영역의 대기업 새로운 오픈소스 동영상 코덱 개발 추진
20152015-09
Google ICT 영역의 대기업 새로운 오픈소스 동영상 코덱 개발 추진
- Mozillia, Cisco, Microsoft, Amazon 등 Alliance for Openmedia라는 명칭하에 2017년 초까지 차세대 비디오코덱을 오픈소스로 제공할 계획이라 발표
11월
주요 기업
Google, Google Divshot을 인수
20152015-10
Google Divshot을 인수
- Divshot은 개발자들이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으로 앞서 Google이 인수한 또 다른 개발 플랫폼업체 Firebase에 통합
주요 기업
Adobe, 'Flash'의 명칭을 'Animate'로 변경
20152015-11
Adobe 'Flash'의 명칭을 'Animate'로 변경
- Animate는 기존 Flash 콘텐츠의 확장자인 .swf 역시 지원하지만, 기본적으로 웹 표준 언어 HTML5의 활용을 권고
- 이에 업계에서는 Adobe측이 결국 Flash의 종식을 공식화한 것으로 평가
12월
주요 기업
Google, HTML5 기반의 360도 화면 게임 공개
20152015-12
Google HTML5 기반의 360도 화면 게임 공개
- 영화 <Starwars: Awaken Force>의 프로모션을 목적으로 Chrome 브라우저를 통해서만 이용 가능하며 데스크톱과 스마트폰을 연동한 뒤 스마트폰을 게임 속 광선검의 콘트롤러로 사용
표준화
W3C, HTML5-part2 신규 강좌가 개설
20152015-12
W3C HTML5-part2 신규 강좌가 개설
- 이는 HTML5-part1 강좌의 후속편으로 주요 내용은 HTML5 기반의 웹 앱 작성 등
- 당시 W3C측이 밝힌 HTML5-part1 강좌의 수강생은 150,000여 명 수준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 OS'의 스마트폰 지원을 중단
20152015-12
'Firefox OS'의 스마트폰 지원을 중단
- 2013년 첫 공개된 Firefox OS는 HTML5 기반 모바일 운영체제로 그 동안 저가형 모바일 단말에 탑재되어 왔으나, Android, iOS 등 경쟁 운영체제에 비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는데 실패
- 언론에서는 Mozilla가 Firefox OS의 스마트폰 지원을 중단하는 대신 해당 운영체제의 개발을 스마트TV와 사물인터넷 분야에 초점을 맞춰 전개해 나갈 것이라 분석
2016년도 연혁
2월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 OS 개발 로드맵이 외부로 유출
20152015-12
Firefox OS 개발 로드맵이 외부로 유출
- 스페인의 한 IT 전문매체에 의해 Firefox OS의 개발 로드맵 문서가 유출되었으며, 이후 Mozilla는 동 문서가 자신들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인정
- 동 문서에는 태블릿PC 스마트 키보드 무선 통신 라우터 셋톱박스 등에 Firefox OS를 탑재하겠다는 제품 컨셉이 기재되어 있었지만, Mozilla는 이는 콘셉트일 뿐 실제 구체적인 제품 개발 계획은 아직 없다고 일축
주요 기업
Facebook, 동영상 콘텐츠에 HTML5를 적용
20152015-12
Facebook 동영상 콘텐츠에 HTML5를 적용
- 기존 Flash를 기반으로 제공되어 왔던 Facebook 동영상이 대거 HTML5로 변환됨에 따라 Facebook과 관련된 다른 서드파티 사업자들의 HTML5 도입 속도 역시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분석
4월
주요 기업
Google, AMP(Accelerated Mobile Pages)를 공식 출시
20162016-02
Google AMP(Accelerated Mobile Pages)를 공식 출시
- AMP는 HTML5을 활용한 모바일 웹 서비스로 모바일 페이지의 로딩 시간을 줄여주는 서비스로 뉴스 콘텐츠들과 연동됨
주요 기업
AdWords, AdWords가 서비스 HTML5로 100% 전환 발표
20162016-02
AdWords가 서비스 HTML5로 100% 전환 발표
- 당시 Google은 6월 30일부터 Flash 기반의 배너 광고를 광고 플랫폼 AdWords와 DoubleClick Digital Marketing에 업로드할 수 없게 조치할 것이라 공언
5월
표준화
W3C, HTML5.1의 기술 사양 GitHub에 공개
20162016-04
W3C HTML5.1의 기술 사양 GitHub에 공개
- 이를 통해 다양한 웹 개발자들로부터 HTML5.1의 문법적 오류 및 유스 케이스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
- 또한, W3C는 HTML5.1을 기점으로 향후 HTML 표준을 1년에 한 번씩 업데이트하는 워크 플로우를 설정
주요 기업
MS, Edge의 지원 동영상 코덱의 범위 확장
20162016-04
Edge의 지원 동영상 코덱의 범위 확장
- 이로써 Edge는 WebM, VP9, Opus 등의 오픈소스 동영상 코덱을 지원하기 시작
표준화
Google, Chrome에서 Flash 대신 HTML5를 자동 사용 조치
20162016-05
Chrome에서 Flash 대신 HTML5를 자동 사용 조치
- 10월부터 Chrome 사용자들은 Flash 기반의 광고, 게임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옵션을 설정해야 가능해짐
- 단, Facebook, YouTube, Twitter 등 유명 사이트에서 서비스되는 Flash 콘텐츠에 대해서는 예외 방침을 적용
6월
주요 기업
Mozilla, Widevine CDN의 지원
20162016-05
Mozilla Widevine CDN의 지원
- Firefox 47 베타 버전에서부터 지원되는 Widevine CDM은 HTML5 웹 환경에서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로 특히 Netflix, Amazon Prime 등 웹 기반의 유료 콘텐츠 유통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각광
표준화
W3C, HTML5.1 표준 권고 후보(Candidate 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
20162016-06
W3C HTML5.1 표준 권고 후보(Candidate 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
- W3C는 HTML5.1 표준을 권고 후보(Candidate 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
주요 기업
Apple, Safari 데스크톱 버전 플러그인 퇴출 발표
20162016-06
Safari 데스크톱 버전 플러그인 퇴출 발표
- Apple은 모바일 버전 Safari에서는 출시 시점부터 보안 및 배터리 누수 등을 이유로 Flash를 지원하지 않았던 상황
- 데스크톱 Safari에서도 Flash를 포함한 플러그인을 지원하지 않게 된 배경에는 웹 생태계 내 HTML5 도입이 상당 수준으로 정착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
7월
주요 기업
MS, Edge에서 사용된 WebGL 기술 일부 GitHub에 공개
20162016-06
Edge에서 사용된 WebGL 기술 일부 GitHub에 공개
- WebGL은 HTML5 캔버스 요소를 기반한 JavaScript API의 일종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3D 콘텐츠 및 고성능 그래픽 처리를 위해 고안된 웹 표준 기술
- Microsoft는 자사의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함으로써 서드파티 개발자들이 Edge 브라우저 관련한 보다 많은 웹 서비스 및 웹 앱을 개발하도록 독려
주요 기업
Google, Swiffy 서비스 오는 7월 중단 발표
20162016-06
Google은 Swiffy 서비스 오는 7월 중단 발표
- Swiffy는 Flash 기반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HTML5 기반으로 변환해주는 웹 기반의 SW로서 2011년부터 서비스를 제공
- 업계에서는 Google이 Flash 기반의 리치미디어 콘텐츠를 자신들의 웹 생태계에서 퇴출시키기 위해 Swiffy의 서비스 중단을 결정했다고 분석
8월
주요 기업
Google, 'Widevine'의 취약성을 입증
20162016-07
Google 'Widevine'의 취약성을 입증
- 이스라엘에 소재한 한 보안연구팀이 Widevine이 Chrome뿐만 아니라 Opera, Firefox 등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도 지원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악용할 경우, 대규모 피해가 예상된다고 설명
주요 기업
MS, 'China HTML5 for the Enterprise' 가입
20162016-07
MS 'China HTML5 for the Enterprise' 가입
- H5EIA에는 MS 외에도 Huawei, Alibaba 등 중국 태생의 기술업체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동 단체는 애플리케이션, 운영체제, 하드웨어, 네트워크 기반시설 등이 포함된 모든 HTML5 관련 생태계 발전에 일조할 것이라 언급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 Flash 콘텐츠 순차적 제한 조치
20162016-07
Firefox Flash 콘텐츠 순차적 제한 조치
- 당시 Mozilla는 오는 8월부터 Firefox에서 Flash 기반 콘텐츠를 중단할 계획이며, 2017년부터는 전면적인 Flash 차단 조치를 추동할 것이라 발표
9월
표준화
W3C, HTML5.2의 첫 번째 초안(Working Draft) 공개
20162016-08
W3C HTML5.2의 첫 번째 초안(Working Draft) 공개
- W3C는 HTML5.2의 첫 번째 초안(Working Draft)을 공개
10월
표준화
W3C, HTML5.1 표준을 권고안(Proposed 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
20162016-09
W3C HTML5.1 표준을 권고안(Proposed 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
- 당초 W3C는 9월까지 HTML5.1을 권고(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할 계획이었지만, 약간 지연된 상황
주요 기업
MS, Edge에서 WebVR 기술을 시험 지원
20162016-09
MS Edge에서 WebVR 기술을 시험 지원
- MS는 자사 웹 브라우저 Edge에서 WebVR 기술을 시험 지원할 것이라 발표
11월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의 엔진인 대거 교체
20162016-10
Mozilla Firefox의 엔진인 대거 교체
- 그 동안 Firefox의 근간이 되어왔던 Geako 브라우저 엔진은 컴퓨터의 CPU가 싱글코어였던 시대에 개발됐기 때문에 최근의 발전된 하드웨어 사양을 완전하게 활용하지 못했었음
- Mozilla측은 새로운 브라우저 엔진 Quantum을 통해 컴퓨터의 멀티코어 프로세서 및 GPU를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웹 페이지 로딩 속도 및 화면 스크롤 기능 등을 개선할 계획
- 당시 Mozilla측 발표에 따르면, Quantum이 Firefox에 적용되는 시점은 2017년 초쯤으로 구상
주요 기업
Apple, SW 벤더에 HTML5 기술 미지원 등 피소
20162016-10
Apple SW 벤더에 HTML5 기술 미지원 등 피소
- 당시 Apple을 피소한 SW 벤더측은 HTML5 기술 지원이 상대적으로 미비한 Safari 모바일 웹 브라우저 때문에 자사의 개발 시간 및 비용이 더욱 많이 소모되고 있다고 설명
- 또한, 동 벤더는 Apple이 Safari의 HTML5 지원 미흡을 개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iOS에서 작동되는 다른 경쟁 웹 브라우저에 대해 Apple의 렌더링 웹 엔진을 채용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자신들과 같은 서드파티 개발사들의 이익을 크게 침해한다고 주장
표준화
W3C, HTML5.1 표준을 권고(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
20162016-11
W3C HTML5.1 표준을 권고(Recommendation) 단계로 발표
- 이로써 지난 2014년 10월 HTML5 표준이 발표된 이후, 2년만의 마이너 업데이트를 완료
12월
주요 기업
Google, WebVR을 지원
20162016-11
Google WebVR을 지원
- 2017년 1월부터 Android 버전 Chrome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WebVR 지원
주요 기업
Mozilla, 'HTML5 Battery Status API' 지원 중단
20162016-11
Mozilla 'HTML5 Battery Status API' 지원 중단
- Mozilla는 그 동안 개인정보 침해 논란이 있어왔던 'HTML5 Battery Status API'의 지원을 Firefox 웹 브라우저에서 중단할 것이라 발표
주요 기업
Apple, HTML5 Battery Status API의 지원 중단 고려중
20162016-11
Mozilla 'HTML5 Battery Status API' 지원 중단
- 일부 언론에서는 Apple이 자사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개인정보 침해 소지가 다분한 HTML5 Battery Status API의 지원 중단하는 것을 고려중이라 보도
주요 기업
Facebook, HTML5 기반 게임 서비스 준비 중
20162016-11
Facebook HTML5 기반 게임 서비스 준비 중
- Instant Games는 채팅창을 통해서 일종의 봇(Bot) 형태로 제공되는 HTML5 게임 서비스로, 이러한 게임 유통 방식은 이미 WeChat 등 동양권 주요 메신저에서 일반화되어 있는 상황
- 11월 보도 당시, Facebook은 유명 모바일 게임업체 King.com과 협업하여 뉴질랜드에서 <Shuffle Cats Mini>라는 명칭의 게임을 메신저를 통해 테스트 중인 것으로 확인
- 또한, Facebook은 이전에도 체스, 농구, 축구 등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캐주얼게임을 시범적으로 메신저를 통해 선보인 전력 존재
- 전 세계적인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Facebook이 HTML5를 기반으로 메신저를 게임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추세에 동참함으로써 그 시장 파장 역시 상당할 것이라는 예상
2017년도 연혁
1월
주요 기업
Google, Chrome 56 정식 버전 발표 및 HTML5를 기본 기술로 사용하도록 조치
20172017-01
Google, Chrome 56 정식 버전 발표 및 HTML5를 기본 기술로 사용하도록 조치
- Chrome 56 버전은 사용자가 웹 사이트 방문 시 Flash 기반의 콘텐츠를 자동 비활성화하고, HTML5 기반 콘텐츠를 우선 제공
- 사용자가 Chrome 56에서 Flash 콘텐츠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을 통해 활성화 조치를 시행해야 가능
- 또한, Chrome 56에서부터는 HTTPS 프로토콜 대신 HTTP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보안 경고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모바일과 macOS 버전에 한해 Web Bluetooth API 지원을 추가하여 저전력 블루투스 장치와 상호작용도 가능
주요 기업
MS, Edge의 Web Payments 지원 및 Flash 콘텐츠 차단 기능추가 발표
20172017-01
MS, Edge의 Web Payments 지원 및 Flash 콘텐츠 차단 기능추가 발표
- Microsoft(이하, MS)는 자사 웹 브라우저 Edge가 Web Payments를 지원하고, Flash 콘텐츠를 기본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추가하게 됐다고 발표
통계
Flash 사용 웹 사이트 비중 2016년 9.5%에서 2017년 7.3%로 감소
20172017-01
Flash 사용 웹 사이트 비중 2016년 9.5%에서 2017년 7.3%로 감소
- 웹 기술 전문조사기관 W3Techs에 따르면,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클라이언트 측면에서 Flash를 사용 중인 웹 사이트의 비중은 2016년 1월 9.5%에서 2017년 1월 7.3%로 감소
2월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의 FLAC 오디오 코덱 지원
20172017-01
웹 브라우저 중 최초로 Firefox가 FLAC 오디오 코덱을 지원
- FLAC은 데이터 손실 없이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맷으로 Fifefox 51버전에서부터 지원
- 한편, 1월 23일 출시된 Firefox 51에 이어 1월 31일 출시된 Chrome 56이 FLAC 코덱을 지원
통계
HTML 사용 웹사이트 비중 2016년 67.4%에서 2017년 73.5%로 상승
20172017-01
HTML 사용 웹사이트 비중 2016년 67.4%에서 2017년 73.5%로 상승
-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마크 업 언어로 HTML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는 2016년 1월 기준 67.4%에서 2017년 1월 73.5%로 상승
주요 기업
Google, iOS 버전 Chrome의 개발 코드 오픈소스로 전환
20172017-01
Google은 iOS 버전 Chrome의 개발 코드를 오픈소스로 전환
- Google은 iOS 버전 Chrome의 개발 코드를 오픈소스로 전환
4월
주요 기업
Google, Chrome에서 WebVR 이용가능 발표
20172017-02
Google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자사 웹 브라우저 Chrome에서 WebVR을 이용할 수 있다고 발표
- 단, Google은 Chrome을 통해 WebVR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Daydream1을 지원하는 단말이 필요하다고 설명
주요 기업
Firefox 52 버전 업데이트 및 Flash 외 다른 플러그인 퇴출
20172017-02
Firefox 52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Flash 외 다른 플러그인들이 퇴출
- Firefox 52는 기존에 지원하던 NPAPI, Silverlight, Java 등의 플러그인 사용을 전면 중단하고, 그 대신 WebAssembly의 지원을 시작
- 또한, HTTPS를 지원하지 않는 웹 사이트 방문 시 경고를 추가
주요 기업
Apple, 3D 그래픽 구현을 위한 커뮤니티 그룹 개설 제안
20172017-02
Apple은 월드와이드웹컨소시엄(W3C)에 보다 강화된 3D 그래픽을 웹에 구현하기 위한 커뮤니티 그룹 개설을 제안
- 해당 커뮤니티를 통해 WebGPU를 웹 표준화 사양으로 제정하자는 것이 Apple의 제안
5월
주요 기업
MS, Edge의 우수한 배터리 지속성 발표
20172017-04
MS는 자체적인 테스트 결과 자사의 웹 브라우저 Edge가 여타 웹 브라우저들 대비 더욱 우수한 배터리 지속성을 보였다고 발표
- 해당 테스트에서는 Edge와 Google Chrome, Mozilla Firefox를 비교
- 동일 기종의 랩톱에서 각각의 브라우저를 통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Vimeo에 접속 후 전체 화면으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방식으로 진행
- Microsoft에 따르면, Edge는 Google Chrome와 Mozilla Firefox보다 각각 35%와 77%만큼 더 긴 배터리 지속성을 보인 것으로 테스트가 완료
주요 기업
MS, Edge의 WebVR, Web Payments, Web Assembly 기술 지원 시작
20172017-04
MS, Edge의 WebVR, Web Payments, Web Assembly 기술 지원 시작
- 새롭게 업데이트된 Edge 웹 브라우저는 WebVR, Web Payments, Web Assembly 등의 기술을 지원 시작
주요 기업
Google, PNaCl을 WebAssembly로 대체할 것이라 발표
20172017-05
Google은 자사 웹 기술인 PNaCl을 WebAssembly로 대체할 것이라 발표
- WebAssembly는 Google, Microsoft, Apple, Mozilla 등 주요 웹브라우저 개발사들의 참여를 통해 개발되고 있는 표준 포맷
- WebAssembly를 탑재한 웹 브라우저는 C, C++과 같은 언어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것이 가능
주요 기업
MS, Windows 10 S 공개 및 해당 운영체제에서 Edge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
20172017-05
MS는 새 운영체제 Windows 10 S를 공개하면서, 해당 운영체제 내에서 Edge 웹 브라우저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소
- Windows 10 S은 교육용 시장을 목표로 일반 Windows 운영체제 대비 제한적 기능만 제공
- Windows 10 S 내 앱 스토어의 보안 정책에 "웹을 탐색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Windows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적절한 HTML 및 JavaScript 엔진을 사용해야 합니다"라는 문구를 명시
- 서드파티 웹 브라우저가 해당 보안 정책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렌더링 엔진을 EdgeHTML로 개조해야 한다는 의미
- 이는 결국 각자의 렌더링 엔진을 기반하고 있는 Chrome, Firefox, Safari의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
- 한편, Apple과 Google 역시 각사의 운영체제 내에서 이와 비슷한 보안 정책을 운영
6월
주요 기업
Mozilla, 멀티 프로세스 지원하는 Firefox 54버전 발표
20172017-06
Mozilla는 멀티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 Firefox 54버전을 발표
- Firefox 54버전은 1개의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탭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메모리 사용량을 절약
- 반면, Google의 Chrome은 1개 프로세스가 1개의 탭을 관리
주요 기업
Apple, Safari의 동영상 자동 재생 차단기능 추가할 것이라 발표
20172017-06
Apple은 자사 개발자 컨퍼런스(WWDC)를 통해 Safari 웹 브라우저에 동영상 자동 재생을 차단하는 기능을 추가할 것이라 발표
- 이는 동영상 광고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경험이 저해 받고 있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책
- 또한, Apple은 동 행사를 통해 Safari와 Webkit에서 WebRTC의 지원할 것임을 발표
통계
트래픽 기준 상위권에 있는 웹 사이트일수록 HTML 사용 많음
20172017-06
HTML은 트래픽을 기준하여 상위권에 있는 웹 사이트일수록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 2017년 6월 기준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0개 웹 사이트로 했을 경우 HTML을 사용하는 비중은 89.9%
- 반면,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만 개 웹 사이트로 확장하였을 경우 HTML의 사용 비중은 78.0%로 하락
통계
데스크톱 버전의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 기록
20172017-06
웹 브라우저 별 HTML5 수용도 조사 사이트인 HTML5test.com에 따르면, 2017년 6월 기준 데스크톱 버전의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를 기록
- 2017년 6월 기준 최신 웹 브라우저인 Chrome 57의 HTML5 수용도 점수는 519점(555만점)을 기록
- 두 번째로 높은 HTML5 수용도 점수를 기록한 것은 Opera 45로 518점
- 한편, Chrome과 Opera는 Google이 개발한 오픈소스 웹 브라우저 Chromium을 기반하고 있음
7월
주요 기업
Mozilla, 개인보호 기능 강화 웹 브라우저 Firefox Focus의 Android 버전 출시
20172017-06
Mozilla는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개인보호 기능 강화 웹 브라우저 Firefox Focus를 Android 버전으로 출시
- 동 웹 브라우저는 2016년 11월 iOS 버전으로 우선 출시되었으며, 기본적으로 광고 추척 차단,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등의 기능을 제공
- Mozilla측은 광고 추적기 차단 등을 통해 Firefox Focus가 일반 웹 브라우저 대비 세션 속도도 빠른 편이라고 주장
통계
트래픽 기준 상위권에 있는 웹 사이트일수록 Flash 사용 많음
20172017-06
Flash는 트래픽을 기준하여 상위권에 있는 웹 사이트일수록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 2017년 6월 기준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0개 웹 사이트로 했을 경우 Flash를 사용하는 비중은 14.1%
- 반면,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만 개 웹 사이트로 확장하였을 경우 Flash의 사용 비중은 6.3%로 하락
주요 기업
Apple 소속 개발자 W3C산하 WebVR 커뮤니티 그룹 가입
20172017-07
Apple 소속 개발자 3인이 월드와이드웹컨소시엄(W3C) 산하의 WebVR 커뮤니티 그룹에 가입
- WebVR 커뮤니티 그룹에 가입한 Apple 소속 개발자의 회사 내 직책 및 성명은 ▲멀티미디어 및 소프트웨어 표준 대표 Dave Singer ▲수석 프론트엔드 개발자 Brandel Zachrnuk ▲WebGL 스펙 에디터 Dean Jackson 등인 것으로 확인
- Apple 소속 개발자가 WebVR 커뮤니티 그룹에 가입함으로써, 해당 기술의 표준화 개발 작업에서 Apple의 의견이 보다 잘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8월
주요 기업
Google, Chrome의 Flash 지원 2020년 경 종료 예정 발표
20172017-07
Google은 웹 브라우저 Chrome의 Flash 지원을 2020년 경 완전히 종료할 것이라 발표
- 이 같은 발표는 Adobe가 Flash에 대한 업데이트를 2020년 말에 종료할 것이라 발표한 것에 대한 대응적인 조치
주요 기업
MS, Edge와 Internet Explorer에서의 Flash 지원 단계적 중단 발표
20172017-07
Microsoft는 자사 웹 브라우저 Edge와 Internet Explorer에서의 Flash 지원을 단계적으로 중단한 것이라 발표
- 이 같은 발표는 Adobe가 Flash에 대한 업데이트를 2020년 말에 종료할 것이라 발표한 것에 대한 대응적인 조치
- 2017년 말부터 2018년 초 사이에 Microsoft Edge는 사용자가 처음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Flash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요청하고, 후속 방문 시에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을 기억하여 별도 요청을 하지 않는 방식을 채택할 계획
- 2018년 중후반까지 Microsoft Edge는 Flash를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각 세션마다 권한을 요청할 계획인 반면, Internet Explorer는 이때까지도 모든 사이트에서 Flash를 계속 지원할 예정
- 2019년 중후반에는 Microsoft Edge와 Internet Explorer에서 기본적으로 Flash가 비활성화되며, Flas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별도의 환경 설정을 요구할 계획
- 2020년에는 Microsoft Edge와 Internet Explorer에서 Flash를 완전히 제거할 계획
주요 기업
Mozilla, Android용 Firefox Focus 출시 1달 만에 100만 다운로드 돌파
20172017-07
Mozilla는 Android 운영체제용 모바일 웹 브라우저 Firefox Focus가 출시 1달 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다고 발
- Firefox Focus의 가장 큰 특징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광고 및 트래커 차단 기능을 기본(default)으로 제공한다는 점
주요 기업
Apple, Safari의 엔진인 WebKit 관련 Service Workers 지원
20172017-07
Apple의 웹 브라우저 Safari의 엔진인 WebKit 관련 Service Workers 지원 여부가 현실화 가능성을 보이고 있어 개발자들의 관심을 견인
- IT 전문매체 Register 등 주요 외신 따르면, 2017년 7월 24일 WebKit의 개발자 웹 사이트 상에서 'Service Workers' 항목에 '개발 중(In Development)'이라는 문구가 명시
- Service Workers란, 브라우저에서 백그라운드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한 API로 PWA(Progressive Web App)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
- 이전까지 Google, Microsoft, Apple, Mozilla 등 주요 웹 브라우저 벤더들이 W3C 산하의 커뮤니티 그룹을 통해 WebAseembly의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
- WebAseembly는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으로 돌아가며 컴팩트한 바이너리 포맷을 제공하는 저수준 어셈블리 언어로, C/C++ 등과 같은 언어의 컴파일 타겟으로써 그런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웹에서 돌릴 수 있도록 지원
- WebAssembly 워킹 그룹이 공식 출범함에 따라 해당 기술의 표준을 마련하는 작업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주요 기업
Mozilla, iOS용 Firefox 8.0 버전 업데이트
20172017-08
Mozilla는 iOS 운영체제용 Firefox의 8.0 버전 업데이트를 발표
- 해당 업데이트에서는 신규 탭기능, 나이트모드, QR 코드 리더 기능등이 추가
주요 기업
Mozilla, PC용 Firefox 55 버전 업데이트 및 WebVR 지원 추가
20172017-08
Mozilla는 PC용 웹 브라우저 Firefox의 55 버전 업데이트를 실행하고, WebVR에 대한 지원을 추가
- Firefox 55는 Windows 운영체제 기반의 웹 브라우저 중 최초로 WebVR을 지원
- 앞서 Mozilla는 WebVR 콘텐츠 제작 프레임워크인 A-Frame을 2015년 12월 오픈소스로 처음 공개하여 웹 개발자들이 HTML5를 통해 손쉽게 WebVR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모한 바 있음
10월
표준화
W3C, EME(Encrypted Media Extensions) 표준을 권고(Recommendation) 단계로 변경
20172017-09
월드와이드웹컨소시엄(W3C)은 EME(Encrypted Media Extensions) 표준을 권고(Recommendation) 단계로 변경
- EME란, 웹 브라우저에서 동영상, 음악 등의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된 DRM3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는 표준
- HTML5가 플러그인의 도움 없이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재생하는 형태로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저작권 보호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 EME의 등장 배경
- EME는 초안 작성 당시인 2013년 5월부터 전자프런티어재단, 자유소프트웨어재단 등 인터넷 사용자의 권익 보호단체로부터 비난을 받아온 바 있음
- 무엇보다 EME가 W3C의 기본강령인 '웹의 개방성'에 위배되며, 이를 표준화하였을 경우 DRM의 확산이 가속화되어 인터넷 사용자들의 웹 사용 권한을 침해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
- 한편, 전자프런티어재단은 자신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EME 표준을 강행한 W3C에 반발하며, W3C의 탈퇴를 선언
주요 기업
Google, Chrome 61 버전 출시 및 JavaScript 모듈과 WebUSB 등의 기술 지원 시작
20172017-09
Chrome 웹 브라우저는 61 버전을 출시하면서 JavaScript 모듈과 WebUSB 등의 기술을 지원하기 시작
- <script type = module> 요소를 통해 JavaScript 모듈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므로 개발자는 스크립트의 종속성을 선언하는 것이 가능
- 또한, 브라우저 내 V8 JavaScript 엔진을 버전 업그레이드하여, 성능 향상 및 바이너리 크기 축소를 지원
- WebUSB API를 지웜함으로써 사용자는 웹 앱에서 USB 장치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
- 한편, Chrome은 2017년 9월 나이틀리(Nightly)4 버전을 통해 WebAPK 기능을 실험적으로 공개
- WebAPK란, PWA를 Android 기반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형태로 단말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배포하는 방식
주요 기업
Safari 여타 웹 브라우저 대비 DOM 엔진 취약점 많이 발견
20172017-09
Safari 웹 브라우저에서 여타 웹 브라우저 대비 DOM 엔진 취약점이 더욱 많이 발견
- 이는 Google의 보안 연구팀인 Project Zero가 2017년 9월, 웹 브라우저의 보안 버그를 탐지하는 자동 테스트 도구 Domato를 공개하면서 밝혀진 사실
- Project Zero에 따르면, Domato를 이용하여 주요 웹 브라우저들을 대상으로 1억 회의 반복적 테스트를 추진한 결과 Chrome에서는 2개, Firefox에서는 4개, Internet Explorer에서는 4개, Edge에서는 6개의 버그가 각각 발견된 반면, Safari에서는 무려 17개의 DOM 엔진 버그가 발견
통계
Flash 사용 웹 사이트 비중 2016년 7.8%에서 2017년 6.0%로 감소
20172017-10
웹 기술 전문조사 사이트 W3Techs에 따르면,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클라이언트 측면에서 Flash를 사용 중인 웹 사이트의 비중은 2016년 10월 7.8%에서 2017년 10월 6.0%로 감소
- Flash에 대한 비중은 지난 몇 년간 꾸준히 감소세에 접어들어 왔으며, 개발사인 Adobe가 2020년에 Flash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것이라 밝힌 만큼 앞으로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
11월
표준화
W3C, HTML5.1 표준의 2번째 판(Edition) 공개
20172017-10
W3C는 HTML5.1 표준의 2번째 판(Edition)을 공개
- HTML 구문 부분에서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ers)를 모두 'http://'에서 'https://'로 변경한 것이 구식(legacy) 시스템과 매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수정한 것 외에는 기존 HTML5.1과 비교해 별다른 변경사항 없음
주요 기업
MS, Edge 모바일 베타 버전 출시
20172017-10
Microsoft는 웹 브라우저 Edge의 모바일 버전을 베타 버전으로 출시
- Android와 iOS에서 작동하는 Edge 웹 브라우저는 Windows 기반 Edge와 동기화되어 더욱 편리한 사용 경험을 제공
- Edge 웹 브라우저는 Android에서 Chromium을, iOS에서는 WebKit을 기반으로 개발
통계
HTML 사용 웹사이트 비중 2016년 71.9%에서 2017년 77.9%로 상승
20172017-10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마크 업 언어로 HTML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는 2016년 10월 기준 71.9%에서 2017년 10월 77.9%로 상승
- 한편, W3Tech를 운영하는 호주의 웹 컨설팅업체 Q-Success는 2017년 12월 기준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HTML을 사용하는 웹 사이트는 78.9%이며, 이중 최신 마크업 언어인 HTML5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의 비중은 67.8%라 설명
12월
표준화
W3C, HTML5.2 권고안(Proposed Recommendation) 단계로 격상
20172017-11
W3C, HTML5.2 권고안(Proposed Recommendation) 단계로 격상
- W3C는 HTML5.2를 권고안(Proposed Recommendation) 단계로 격상
주요 기업
Google, Chrome에 웹 사이트 리디렉션 방지 기능을 적용 예정 발표
20172017-11
Google은 Chrome에 웹 사이트 리디렉션을 방지하는 기능을 적용할 것이라 발표
- 리디렉션은 웹 사이트나 디지털 광고가 갑자기 원치 않는 새 페이지를 로드하는 방식으로 종종 악용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
- Google은 2018년 1월 출시 계획 중인 Chrome 64 버전에서 이러한 악성 리디렉션을 방지하는 기능을 선보일 것이라 설명
- 그 방편 중 하나로 제3자가 숨겨둔 iframe 태그에 의해 발생하는 리디렉션을 표시하지 않고, 툴바를 통해 통지할 계획
- 또한, 기존 Chrome의 팝업 차단 기능을 우회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던 '역 팝업(reverse pop-up)'과 같은 방식에 대해서도 제제를 가할 예정
- 역 팝업이란, 사이트를 방문 할 때의 내용이 새 탭에서 열리는 순간 기존에 탐색해 왔던 탭이 마음대로 다른 페이지로 날아가 버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Google은 2018년 3월 출시 예정인 Chrome 65에서 이러한 방식을 차단할 것이라 설명
- 그 외 버튼처럼 위장하여 의도하지 않는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유도하는 방식5을 팝업 차단기를 통해 차단할 예정
주요 기업
Mozilla, Firefox 57 버전 업데이트
20172017-11
Mozilla는 Firefox 57 버전 업데이트와 함께 해당 웹 브라우저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을 실시
- Firefox 57은 신규 렌더링 엔진 Quantum이 적용되어 로딩 속도가 월등히 개선
- Mozilla측에 따르면, Firefox 57은 이전 버전 대비 2배 이상 빠른 로딩 속도를 담보
- 그 외 CSS 레이아웃 엔진도 새롭게 'Stylo'로 적용하여, 메모리와 전력 소모를 크게 줄였다는 평가
주요 기업
MS, Web Media Extensions 배포하여 Edge에서 OGG, Vorbis 등 미디어 포맷 지원
20172017-12
Microsoft는 'Web Media Extensions'라는 명칭의 확장 프로그램을 배포함으로써 Edge에서 OGG, Vorbis 등 미디어 포맷을 지원
- 해당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Window 10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 Edge에서 Vorbis, Theora, Ogg 등의 미디어 포맷을 별도의 코덱 설치 없이 이용 가능
- Web Media Extension의 배포를 기점으로 사용자들은 Windows 및 Edge 생태계에서 더욱 많은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을 전망
통계
트래픽 기준 상위권 웹 사이트일수록 Flash에 대한 의존도 높음
20172017-12
트래픽 기준 상위권 웹 사이트일수록 Flash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을 것으로 분석됨
- 2017년 12월 기준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0개 웹 사이트로 했을 경우 Flash를 사용하는 비중은13.6%
- 반면,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만 개 웹 사이트로 확장하였을 경우 Flash의 사용 비중은 4.8%로 하락
통계
트래픽 기준 상위권 웹 사이트일수록 HTML의 도입 더욱 가속화
20172017-12
트래픽 기준 상위권 웹 사이트일수록 HTML의 도입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2017년 12월 기준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0개 웹 사이트로 했을 경우 HTML을 사용하는 비중은 91.2%
- 반면, 조사 범위를 트래픽 상위 100만 개 웹 사이트로 확장하였을 경우 HTML의 사용 비중은 80.3%로 하락
통계
데스크톱 버전의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 기록
20172017-12
웹 브라우저 별 HTML5 수용도 조사 사이트인 HTML5test.com에 따르면, 2017년 12월 기준 데스크톱 버전의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를 기록
- 2017년 12월 기준 최신 웹 브라우저인 Chrome 58의 HTML5 수용도 점수는 518점(555만점)을 기록했으며, Chromium을 기반하고 있는 Opera 45 역시 518점을 기록
- HTML5 수용도에 대한 Chrome의 우위는 지난 몇 년간 유지되어 오고 있는 상황
표준화
W3C, HTML5.2 표준을 권고안(Recommendation)으로 격상
20172017-12
W3C, HTML5.2 표준을 권고안(Recommendation)으로 격상
표준화
W3C, HTML5.3의 첫 Working Draft 발표
20172017-12
W3C, HTML5.3의 첫 Working Draft 발표
2018년도 연혁
1월
주요 기업
Apple, 자사 웹 브라우저 엔진인 웹킷(Webkit)에 PWA(Progressive Web Apps)의 핵심기능을 탑재할 계획
20182018-01
Apple, 자사 웹 브라우저 엔진인 웹킷(Webkit)에 PWA(Progressive Web Apps)의 핵심기능을 탑재할 계획
- PWA는 모바일에서 네이티브 앱(Native App)이 가진 장점을 웹에 적용한 ‘앱 같은 웹’으로, 초기 웹 앱(Web App)의 진화된 개념
- PWA는 ‘서비스 워커(service worker)’라는 기술을 적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캐시로 웹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인터넷이 끊긴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캐시에서 로딩하기 때문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기능
- 또한 PWA는 웹이기 때문에 앱처럼 앱스토어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브라우저 종류에 상관없이 작동하며, 브라우저가 닫힌 상태에서도 푸시 알림 등 동작 가능
- 그 동안 애플은 다른 브라우저들과는 달리 PWA 지원에 소극적이었으나, 올해부터 PWA를 지원하기로함에 따라 PWA의 보급이 본격 확산될 것으로 예상
주요 기업
Apple, 온라인 미디어 파일 압축 기술 개발 연합인 ‘오픈 미디어 얼라이언스(Open Media Alliance)’에 합류
20182018-01
Apple, 온라인 미디어 파일 압축 기술 개발 연합인 ‘오픈 미디어 얼라이언스(Open Media Alliance)’에 합류
- 오픈 미디어 얼라이언스는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MS 등이 가입하고 있으며,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파일을 압축하는 차세대 기술인 ‘AV1’을 개발
- 오픈 미디어 얼라이언스는 현재 동영상 압축 기술 표준인 H.264에 대한 로열티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됨
- 애플은 그 동안 H.264의 후속 버전인 H.265를 지지했으나, 오픈 미디어 얼라이언스에 합류함으로써 향후 AV1이 웹의 동영상 압축 표준이 되는 것을 지원
3월
주요 기업
Google,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고 있는 AMP(Accelerated Mobile Pages, 가속 모바일 페이지) 기술을 다른 웹 페이지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웹 표준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
20182018-03
Google,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고 있는 AMP(Accelerated Mobile Pages, 가속 모바일 페이지) 기술을 다른 웹 페이지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웹 표준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
- 구글의 AMP 프로젝트는 2015년 10월 구글이 전 세계 30개 이상의 파트너들과 함께 발표한 오픈소스 이니셔티브(Open Source Initiative, OSI)로, 출범 이후 2,500만 개 이상의 웹 페이지 도메인에서 40억 개가 넘는 AMP 페이지가 생성됐으며, 페이지 당 로딩 시간을 평균 0.5초 이하로 단축
- 구글은 non-AMP 웹 페이지의 콘텐츠도 AMP처럼 빠른 로딩이 가능하도록 웹 표준 작업을 진행 중이며, 웹 사이트 전체를 AMP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웹 표준화를 추진할 계획
표준화
W3C, FIDO(Fast Identity Online alliance)가 제출한 웹인증(Web Authentication) 표준안을 후보권고안(CR) 단계로 격상
20182018-04
W3C, FIDO(Fast Identity Online alliance)가 제출한 웹인증(Web Authentication) 표준안을 후보권고안(CR) 단계로 격상
- 웹인증은 PC와 웹에서 생체인증을 가능하게 하는 FIDO2 표준의 핵심으로, PC와 IoT 기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며, 생체인증이기 때문에 기존 문자 중심의 비밀번호 인증보다 안전하다는점에서 향후 비밀번호 인증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모질라는 각자의 브라우저인 크롬과 엣지, 파이어폭스에서 웹인증 표준을 새로운 API로 지원하고, Windows, Mac, Linux, Chrome 등의 OS와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구현 시작
- 브라우저 및 OS에 FIDO2 표준이 적용되면 FIDO1 표준과도 호환되며, 수 억개 장치에서 사용 가능
- FIDO는 곧 상호 운용성 테스트를 시작할 계획이며, 모든 FIDO 인증자 유형(FIDO UAF, FIDO U2F, WebAuthn, CTAP)과 상호 운용되는 보편적 서버(Universal Server) 인증도 도입할 예정
4월
주요 기업
MS, Windows OS에 HTML5 기반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설치 방법을 미리보기로 소개
20182018-05
MS, Windows OS에 HTML5 기반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설치 방법을 미리보기로 소개
- Windows 사용자는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쉽게 각종 장치의 제어가 가능
- MS는 Windows 10 이상 또는 Windows Sever 2016 이상 버전일 때 해당 클라이언트가 최고 성능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
- Windows 7 SP1 또는 Windows Sever 2008R2 이상과도 호환되지만, 이 경우 호환 가능한 웹 브라우저가 필요
- 호환 가능한 웹 브라우저에 대해서는 공식 언급되지 않았으나, MS의 Edge 브라우저가 Windows 및 Windows Server의 최신 버전에서 작동할 가능성이 높음
- 미리보기 단계에서는 ▲필요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방법, ▲호환 가능한 Windows 장치에서 각 기능들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단계,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문제 해결 방안 등 HTML5 기반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는 방법도 소개했으며, 향후 사용자 의견을 반영하여 본격 출시 때는 추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
주요 기업
Mozilla, 사용자 데이터 유출 방지를 위해 파이어폭스에 DoH(DNS over HTTPS) 구현
20182018-05
Mozilla, 사용자 데이터 유출 방지를 위해 파이어폭스에 DoH(DNS over HTTPS) 구현
- HTTP는 HTTPS로 변경되면서 암호화를 통한 보안기능을 강화했으나, 웹 트래픽의 대부분을 처리해 온 DNS는 최근까지 사용자 데이터의 도청 및 스푸핑 방지를 위한 암호화 기능이 채택되지 않았음
- DoH는 데이터 도청을 방지하는 HTTPS를 사용하여 DNS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텍스트가 아닌 TLS(Transport Layer Security)로 데이터를 암호화
주요 기업
Mozilla, 파이어폭스 성능 개선을 위해 웹 컴포넌트(web components) 기술 수용계획 발표
20182018-05
Mozilla, 파이어폭스 성능 개선을 위해 웹 컴포넌트(web components) 기술 수용계획 발표
- 웹 컴포넌트 기술은 ▲Custom Elements, ▲Template, ▲Shadow DOM, ▲HTML Imports의 4가지 구성요소로 이뤄져 있으며, 이를 사용하면 로딩 시간과 속도가 빨라지는 등 웹 사이트의 문제점들을 줄일 수 있음
- 파이어폭스는 현재 ‘Custom Elements’만 사용하고 있으나, 파이어폭스 ‘Nightly 테스트 버전’에서 ‘Shadow DOM’을 우선 수용한 다음, 오는 10월 업데이트 버전에서 웹 컴포넌트 전체를 수용할 계획
- 구글 크롬과 애플 사파리는 웹 컴포넌트 기술은 이미 수용하고 있으며, MS는 엣지 브라우저에서 수용할 계획
5월
표준화
W3C, 웹 사이트 접근성 지침(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업데이트 버전인 WCAG 2.1 발표
20182018-06
W3C, 웹 사이트 접근성 지침(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업데이트 버전인 WCAG 2.1 발표
- WCAG 2.1은 2008년 발표된 WCAG 2.0에 모바일 기기 및 시각·인지 기능과 관련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17가지 기준을 추가했으며, 노트북 및 데스크톱 PC 외에 모바일 기기와 태블릿 등 모든 기기에 웹 사이트 접근성을 확대한 것이 특징
- 특히, WCAG 2.1은 청각 장애 및 청력 상실, 시각 장애 및 시력 저하, 거동 불편, 언어 장애, 인지 장애 등 장애인의 웹 접근성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표준화
W3C,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테스트 툴인 웹드라이버(WebDriver) 표준 권고안으로 채택
20182018-06
W3C,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테스트 툴인 웹드라이버(WebDriver) 표준 권고안으로 채택
- 웹드라이버는 Java로 작성하여 코드관리가 쉬우면서도 브라우저 자체를 직접 제어하기 때문에 Selenium 1.0 등 다른 UI 테스트 툴들이 지원하지 못하던 기능들을 추가
- 웹드라이버는 브라우저 기반 상호작용을 자동화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는 셀레니움(Selenium)과 같은 기존의 기술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
- 웹 브라우저 UI의 경우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전 웹드라이버는 종종 신규 버전의 웹 브라우저와 맞지 않았으나, W3C가 권고안으로 채택함에 따라 향후 테스트 시 불일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
주요 기업
Google, 크롬 차기 버전인 카나리아(Canary)에 증강현실(AR)용 ‘WebXR Hit Test API’ 추가한다고 발표
20182018-06
Google, 크롬 차기 버전인 카나리아(Canary)에 증강현실(AR)용 ‘WebXR Hit Test API’ 추가한다고 발표
- 구글은 2018년 5월 크롬 67 버전에서 가상현실(VR)용 ‘WebXR Device API’를 발표한 데 이어 증강현실용 API도 발표함으로써, AR/VR용 API를 모두 지원
- 구글은 ‘WebXR Hit Test API’를 아직 베타 버전인 카나리아에 추가하여 시험적으로 웹 기반의 AR경험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
6월
주요 기업
Mozilla, 음성으로 조작 가능한 웹 브라우저인 스카우트(Scout) 개발 착수
20182018-06
Mozilla, 음성으로 조작 가능한 웹 브라우저인 스카우트(Scout) 개발 착수
- ‘스카우트’는 키보드나 마우스가 아닌 음성으로 조작과 콘텐츠 이용이 가능한 웹 브라우저로,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술을 탑재하여 음성 명령으로 웹의 기사를 검색해서 읽어주는 등의 이용이 가능
- 모질라는 ‘스카우트’를 통해 자사 웹 브라우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시각장애인 등 인터넷 접근에서 차별적 환경에 놓인 장애인들의 이용자 환경 개선에도 기여한다는 계획
주요 기업
Mozilla, 신규 기능을 추가하고 보안을 강화한 파이어폭스 61 발표
20182018-06
Mozilla, 신규 기능을 추가하고 보안을 강화한 파이어폭스 61 발표
- 파이어폭스 61에서 추가된 주요한 기능은 탭 워밍(Tab Warming)과 빨라진 웹 페이지 로드 속도
- 탭 워밍은 복수로 열려 있는 탭에서 현재 탭 외의 다른 탭 위로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면 그 탭의 콘텐츠를 로딩함으로써 탭 간 전환속도를 높이는 기능
- 파이어폭스 61은 TLS 1.3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했으며, 18가지 보안 문제에 대해 패치를 제공
통계
Flash 사용 웹 사이트 비중 2017년 1월 5.5%에서 7.3%로 감소
20182018-06
Flash 사용 웹 사이트 비중 2017년 1월 5.5%에서 7.3%로 감소
- 웹 기술 전문조사기관인 W3Techs에 따르면,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클라이언트 측면에서 Flash를 사용하는 비중은 2017년 1월 5.5%에서 2018년 6월 4.7%로 지속 감소
- Flash 사용 비중은 2012년 1월 25.6%였으나,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018년 6월 4.7%까지 하락
통계
데스크톱 버전의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 기록
20182018-06
데스크톱 버전의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 기록
- 웹 브라우저별 HTML5 수용도 조사 사이트인 HTML5test.com에 따르면, 2018년 6월 기준 주요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를 기록
- 555점 만점 기준으로, 현재까지의 버전 중 Chrome 66이 528점으로 가장 높고, Opera 45가 518점, Microsoft Edge 17이 492점, Firefox 59가 491점, Safari 11.1이 471점을 기록
- 향후 업데이트되는 버전 중에서는 Chrome 67과 68이 528점으로 가장 높고, Firefox 60이 497점, Microsoft Edge 18이 496점, Safari 11.2가 477점을 기록
7월
표준화
W3C, ‘국제화 이니셔티브’ 출범
20182018-07
W3C, 세계 웹(Web) 이용자들의 보편적 접근을 강화하고, 세계적으로 변화하는 웹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화 이니셔티브(Internationalization Initiative)’ 출범
- W3C는 웹 사용자들의 지역, 언어, 문화와 상관없이 웹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과 사양 등을 개발하고 디자인하는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i18n)’ 활동을 1998년부터 진행
- 지난 20년간 웹에 대한 보편적 접근이 향상되었으나, 사용자 언어의 증가, 이용 방식의 다양화,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등장 등으로 인해 웹의 국제화를 위한 보다 많은 활동이 필요
- W3C는 ‘국제화 이니셔티브’를 통해 사용자들이 자신의 언어로 웹페이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하는 등 지원 언어를 확대하고, 개발자 및 창작자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계획
주요 기업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 ‘사이트 격리(Site Isolation)’ 기능 전면적 도입 발표
20182018-07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 ‘사이트 격리(Site Isolation)’ 기능 전면적 도입 발표
- ‘사이트 격리’ 기능은 각 웹사이트의 콘텐츠 렌더링을 별도의 프로세스로 다룸으로써 사이트를 격리시켜 보안 위협을 낮추는 기능으로, 인텔 등의 CPU 보안 관련 설계 결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멜트다운(Meltdown)’과 ‘스펙터(Spectr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 멜트다운과 스펙터는 PC 내 커널 메모리 접근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로, 사용자의 암호와 사진, 메일, 문서 등과 같은 데이터 보안을 위협
- 그 동안 구글은 ‘사이트 격리’ 기능을 옵션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했으나, 이번 발표를 통해 기본값으로 도입함으로써 크롬 브라우저 차원에서 멜트다운과 스펙터 공격 위협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주요 기업
구글, 가상현실(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에 크롬 브라우저 제공 계획 발표
20182018-07
구글, 가상현실(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에 크롬 브라우저 제공 계획 발표
- VR용 크롬 브라우저는 스마트폰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구글의 VR 헤드셋인 ‘데이드림 뷰(Daydream View)’와 스마트폰이나 PC를 연결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독립형 VR 헤드셋인 ‘레노보 미라지 솔로(Lenovo Mirage Solo)’에서 사용 가능
- VR용 크롬 브라우저는 기존의 데스트톱이나 모바일용 크롬의 기능 대부분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VR에 특화된 사용자 경험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전망
- VR이 동영상 콘텐츠 구현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에 ‘영화 모드(Cinema Mode)’와 같은 특화된 기능이 추가됐으며, VR 콘텐츠 이용 시 음성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기 때문에 음성입력 기능도 제공
주요 기업
Mozilla, 파이어폭스에서 동영상 자동 재생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발표
20182018-07
Mozilla, 파이어폭스에서 동영상 자동 재생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발표
- 크롬과 엣지 브라우저에 이어 파이어폭스에서도 팝업(pop-up)으로 자동 재생되는 동영상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
- 파이어폭스 ‘나이틀리(Nightly)’ 빌드에서 제공되는 이 기능은 ▲이용자가 각 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팝업 동영상 차단을 원하는지 묻는 방식과 ▲설정에서 모든 사이트에서의 팝업 동영상을 차단하는 방식의 2가지로 제공
8월
표준화
W3C,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맵’ 발표
20182018-08
W3C, 모바일 환경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버전의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맵((Roadmap of Web Applications on Mobile)’ 발표
- W3C는 2018년 4월 이후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맵’에 대한 업데이트를 꾸준히 진행하면서 기능 설정 조정이나 브라우저의 기본 작동에 대한 제어 등에 초점을 맞춰왔으나, 이번에 발표한 새로운 버전에서는 새로 추가된 기능 외에 다양한 연구 및 기술에 대해서도 설명
- 새로 추가된 기능이나 연구 및 기술은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통제하는 CSS Animation Worklet API, ▲네트워크 요청 및 대응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허용 메커니즘을 정의하는 서비스워커(Service Worker), ▲모바일 기기에서 전력 관련 자원 활용을 조정하는 Battery Status API,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요 스레드를 독점하는 긴 작업을 탐지하는 Long Tasks API, ▲사용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이벤트 대기시간을 측정하는 Event Timing Web Perf API, ▲통제정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Web IDL을 정의하기 위한 WebRTC의 API Statistics API 식별자 등임
주요 기업
구글, 크롬 ‘카나리아(Canary)’ 버전에 웹페이지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는 ‘Lazy Loading’ 기능 추가
20182018-08
구글, 크롬 ‘카나리아(Canary)’ 버전에 웹페이지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는 ‘Lazy Loading’ 기능 추가
- 현재의 크롬 브라우저는 웹페이지 URL에 처음 접속할 때 페이지 전체를 로딩하는데 비해, ‘Lazy Loading’ 기능은 이용자가 화면에서 스크롤 없이 즉시 볼 수 있는 웹 콘텐츠만 로딩하기 때문에 첫 접속 로딩 시간과 데이터 사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그 동안 ‘Lazy Loading’ 기능은 개별 웹페이지에서만 적용되었으나, 크롬 브라우저에 이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전체적인 브라우징 속도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
- 구글은 웹사이트 개발자들이 ‘Lazy Loading’ 기능은 웹사이트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와 방법 등을 지원
주요 기업
Mozilla, ‘파이어폭스 어드밴스’ 기능을 테스트하기 시작
20182018-08
Mozilla, 파이어폭스에서 이용자의 브라우저 사용 기록을 머신러닝으로 분석하여 이용자의 잠재적 관심 사이트를 추천하는 ‘파이어폭스 어드밴스(Firefox Advance)’ 기능을 테스트하기 시작
- ‘파이어폭스 어드밴스’는 인공지능 스타트업인 ‘레이저라이크(Laserlike)’의 머신러닝 기반 콘텐츠 추천 기술을 활용, 이용자가 보고 있는 웹사이트를 분석하여 관심이 있거나 방문하고 싶을 것으로 생각되는 다른 웹사이트를 추천하는 기능으로, 모질라의 ‘테스트 파일럿(Test Pilot)’ 사이트에서 테스트 시작
- ‘파이어폭스 어드밴스’를 설치하면 현재 보고 있는 웹사이트 왼쪽에 사이드 바가 추가되면서 ▲현재 보고 있는 웹사이트를 보완할 수 있는 웹사이트 추천 메뉴인 ‘Next Read’와 ▲이용자의 브라우저 사용 기록을 바탕으로 한 잠재적 관심 웹사이트 추천 메뉴인 ‘For You’ 메뉴가 등장
주요 기업
Apple, ‘사파리 테크놀로지 프리뷰(Safari Technology Preview) 64’ 출시
20182018-08
Apple, 테스트용 브라우저 업데이트 버전인 ‘사파리 테크놀로지 프리뷰(Safari Technology Preview) 64’를 출시하면서 버그 수정 및 기능 개선
- 애플은 2016년 3월 새로운 버전의 사파리에 사용될 주요 기능들을 테스트하고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 ‘사파리 테크놀로지 프리뷰’ 브라우저를 설계
- ‘사파리 테크놀로지 프리뷰 64’에서는 사용자 지정요소(custom elements)와 웹 AP, 자바스크립트, 웹 드라이버 등에서의 버그를 수정하고 기능을 개선
- 애플은 ‘사파리 테크놀로지 프리뷰 64’를 통해 개발자와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추후 정식 브라우저 개발 과정에 수렴한 의견을 반영할 계획
9월
주요 기업
Mozilla,독립형 VR 웹 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 리얼리티(Firefox Reality) 1.0’ 버전을 발표
20182018-09
Mozilla, 여러 가상현실(VR) 헤드셋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독립형 VR 웹 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 리얼리티(Firefox Reality) 1.0’ 버전을 발표
- ‘파이어폭스 리얼리티 1.0’은 HTC의 VIVE, 오큘러스(Oculus), 구글 데이드림(Daydream) 등 여러 VR 헤드셋에서 작동하는 VR용 웹 브라우저로,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각 VR 헤드셋용 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 가능
- ‘파이어폭스 리얼리티 1.0’은 VR용 웹 브라우저라는 특성에 맞게 이용자가 움직이면서도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상 키보드 외에 음성을 통한 입력 기능을 제공
- 또한 VR에서 브라우저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면 크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다수의 UI를 제공
주요 기업
구글, 고사양 게임인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 베타 테스트 진행
20182018-10
구글, 콘솔 게임기와 PC에서 구동되는 고사양 게임인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를 크롬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베타 테스트 진행
- 유비소프트(Ubisoft)가 10월 5일 출시한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는 콘솔 게임기인 XboxOne, PS4, 닌텐도 스위치 및 PC용 고사양 게임이나, 이번 베타 테스트에서는 크롬 브라우저에서 별도의 다운로드나 플러그인 설치 없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동
- 이번 베타 테스트는 고화질의 대용량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글 ‘프로젝트 스트림(Project Stream)’의 일환으로, 그 동안 음악이나 동영상은 스트리밍으로 가능했지만 대용량 그래픽 게임을 실시간으로 지연 없이 구동하기는 어려웠던 상황
- 특히, 네트워크 속도 지연 문제로 인해 웹 브라우저에서 고사양 게임을 스트리밍으로 사용하려는 시도들이 성공하지 못했는데, 이번 베타 테스트를 통해 높은 수준의 그래픽을 유지하면서도 끊김없는 구동을 시연함으로써 향후 고사양 웹 브라우저 게임의 활성화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
주요 기업
구글, 윈도우와 Mac, 리눅스용 ‘크롬 70’ 공식 출시
20182018-10
구글, 윈도우와 Mac, 리눅스용 ‘크롬 70’ 공식 출시
- 크롬 70’은 ‘크롬 69’에서 구글의 다른 서비스를 사용할 때 이용자 고지 없이 자동으로 구글 계정에 로그인하는 ‘Chrome Sync’ 기능을 개선, 구글 계정 연동을 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
- 윈도우 10에서 일부 새로운 ‘프로그래시브 웹 앱(PWA)’을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PWA를 일반 앱처럼 사용 가능
- 또한 개발자들을 위해 Credential Management API, Public Key Credential, 새로운 AV1 동영상 코덱, Web Bluetooth 등과 같은 기능들을 개선 및 추가
주요 기업
MS, 윈도우10 업데이트 버전에서 엣지 브라우저에 새로운 기능 추가
20182018-10
MS, 윈도우10 업데이트 버전(v1809)에서 엣지 브라우저에 새로운 기능 추가
- MS는 윈도우10 업데이트 버전인 ‘v1809’에서 엣지 브라우저의 디자인과 UI를 개선하면서 다양한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
- 새로 추가된 기능들은 ▲이용자들이 미디어 자동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 미디어 재생’ 기능, ▲웹페이지에서 중요한 부분을 하이라이트로 처리하고 중요 내용을 요약할 수 있는 ‘독서 보기’ 기능, ▲‘독서 보기’나 다른 문서에서 단어를 선택하면 사전 기능이 제공되는 ‘사전 지원’ 기능, ▲‘독서보기’의 ‘텍스트 옵션’에서 글자 크기 조정이 가능한 ‘텍스트 크기 조정’ 기능, ▲‘설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작업들을 더 잘 찾을 수 있고 설정 단계를 간소화한 ‘설정 개선’ 기능 등임
10월
주요 기업
Mozilla, 파이어폭스에서 구글의 ‘웹피(WebP)’ 이미지 파일 지원 계획을 발표
20182018-10
Mozilla, 파이어폭스에서 구글의 ‘웹피(WebP)’ 이미지 파일 지원 계획을 발표
- 구글이 2010년 개발한 ‘웹피’ 이미지 파일은 JPEG와 비슷한 수준의 화질을 제공하면서도 파일 크기가 작기 때문에 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의 이미지 파일 로딩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보유
- 크롬과 MS의 윈도10 엣지 브라우저에 이어 파이어폭스도 ‘웹피’를 지원함에 따라 향후 주요 브라우저의 웹페이지에서 JPEG와 PNG, GIF 등 다양한 이미지 파일들을 ‘웹피’가 대체하게 될 전망
주요 기업
Mozilla, 파이어폭스 ‘퀀텀v63’ 브라우저 업데이트 사항 발표
20182018-10
Mozilla, 파이어폭스 ‘퀀텀(Quntaum) v63’ 브라우저 업데이트 사항 발표
- 모질라는 윈도우와 Mac OS에서의 성능과 시각적인 부분을 개선한 파이어폭스 퀀텀 v63 브라우저의 업데이트 사항을 발표
- 윈도우 사용자들을 위해서는 성능과 시각적인 부분(윈도우 10 Dark 모드와 Light 모드 테마 일치)을 개선했으며, Mac OS 사용자들을 위해서는 성능을 개선
- 아마존이나 구글 같은 인기 사이트는 파이어폭스 퀀텀 v63 홈 페이지에서 타일 형태의 ‘Top Sites’로 표시함으로써 바로 가기 가능
- 향후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위해서는 웹페이지 렌더링 시간 단축을 위해 CSS를 개선하고 스크롤링 시간도 단축할 계획
주요 기업
구글, 크롬의 차기 UI 개편 때 ‘탭 그룹’ 기능 도입 계획
20182018-11
구글, 크롬의 차기 UI 개편 때 ‘탭 그룹(Tab Group)’ 기능 도입 계획
- 탭 그룹’은 하나의 탭에서 여러 웹페이지를 그룹으로 묶어서 볼 수 있는 기능으로, 그 동안 크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탭 너비 자동 축소 기능으로 인한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
- 기존 크롬에서는 여러 탭을 동시에 열 경우, 탭의 너비가 자동으로 줄어들면서 탭에 있는 웹페이지의 제목을 볼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에 대해 이용자들은 지속적으로 개선을 요구
- 현재 파이어폭스와 엣지에서는 여러 탭을 동시에 열어도 탭의 너비가 최소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화살표를 이용해 탭을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불편이 발생하지 않음
- 구글이 도입할 ‘탭 그룹’ 기능은 파이어폭스가 2010년 출시했던 ‘파노라마(Panorama)’ 기능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태
주요 기업
MS, 엣지 브라우저에서 ‘프라이버시 배저’를 지원할 계획
20182018-11
MS, 엣지 브라우저에서 개인정보 추적 프로그램을 차단하는 ‘프라이버시 배저(Privacy Badger)’를 확장 프로그램으로 지원할 계획
- ‘프라이버시 배저’는 광고 차단 프로그램과는 달리, 광고는 차단하지 않으면서 개인정보 추적 프로그램만 차단하는 확장 프로그램
- MS는 조만간 Microsoft Store에 ‘프라이버시 배저’를 등록할 계획이며, 크롬과 파이어폭스에 이어 엣지에서도 ‘프라이버시 배저’를 확장 프로그램으로 지원함에 따라 주요 브라우저에서는 모두 ‘프라이버시 배저’ 이용이 가능
11월
주요 기업
MS, 윈도우10 엣지 FIDO2 웹인증에 기반한 보안 키를 사용하여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시작
20182018-11
MS, 윈도우10 엣지 브라우저에서 FIDO2 웹인증(WebAuthn)에 기반한 보안 키를 사용하여 MS 계정에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시작
- 윈도우10 이용자는 엣지 브라우저에서 비밀번호 입력 없이 Yubikey나 Feitian BioPass 등 FIDO2 인증을 받은 보안 키를 통해 지문이나 안면인식과 같은 생체인증으로 MS 계정에 로그인 가능
- MS는 지난 7월 엣지 브라우저에서 FIDO2 웹인증을 지원한다고 발표하면서 일반 이용자들에게 적용하기 전에 내부적으로 ‘윈도 인사이더 브리뷰’ 버전에서 먼저 지원을 시작한 바 있음
- 엣지 브라우저에서 FIDO2 웹인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10 Build 1809’로 업데이트하고, MS의 계정 페이지인 ‘account.microsoft.com’에서 FIDO2 보안 키를 설정해야 함
주요 기업
Apple, 사파리 암호화되지 않은 웹사이트 방문 시 경고를 제공하는 기능 테스트
20182018-11
Apple,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HTTPS로 암호화되지 않은 웹사이트 방문 시 ‘안전하지 않음’ 경고를 제공하는 기능 테스트
- HTTPS로 암호화된 웹사이트는 브라우저에서 접속 시 보안 위협을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크롬과 파이어폭스는 HTTPS가 아닌 HTTP 웹사이트 접속 시 ‘안전하지 않음(not secure)’ 경고를 이미 제공해 왔음
- 사파리 브라우저는 그 동안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계속 지적당해 왔으며, 애플은 이러한 보안 위협 우려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이번 테스트를 진행
- 애플의 ‘안전하지 않음’ 경고 테스트는 ‘사파리 테크놀로지 프리뷰 70’에서만 가능한 상태이며, 향후 애플이 이 경고 기능을 정식 버전으로 확대 적용할지 여부는 아직 미정
주요 기업
MS, 브라우가 사용하고 있는 크로미엄 기반으로 전환한다고 발표
20182018-12
MS, 엣지 브라우저를 크롬이나 오페라 등 다수 브라우가 사용하고 있는 크로미엄 기반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함으로써 사실상 독자적인 행보를 접고 크로미엄 진영에 합류할 계획임을 시사
- MS의 적극적인 프로모션에도 불구하고 데스크톱에서의 엣지 시장점유율은 2018년 11월 4%에 불과, 1위인 크롬의 72.38%에 비해 압도적인 차이로 뒤져 있으며, 지난 1년간 지지부진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
- 현재 윈도우10에 통합되어 있는 엣지가 크로미엄을 기반으로 하게 되면, 윈도우10에서 분리되면서 윈도우7이나 윈도우8, MacOS 등 다른 OS에서도 사용 가능해지며, 윈도우10과 독립적으로 업데이트도 가능
- 엣지는 윈도우10과 함께 업데이트 주기가 연 2회이나, 크로미엄에 기반하게 되면 다른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처럼 6~8주로 업데이트 주기 단축이 가능
- 또한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와의 호환성이 증가하면서 크롬이 이미 제공하고 있는 확장 프로그램 사용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동안 엣지의 약점으로 지적되어온 부족한 확장 프로그램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주요 기업
Mozilla, ‘파이어폭스 리얼리티 1.0’의 업데이트 버전인 ‘1.1’을 발표
20182018-12
Mozilla, 9월 발표한 VR용 웹 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 리얼리티(Firefox Reality) 1.0’의 업데이트 버전인 ‘1.1’을 발표
- ‘파이어폭스 리얼리티 1.1’은 ‘1.0’ 버전에 비해 지원 언어 확대 및 음성 검색, 360도 동영상 재생, 북마크 및 자동 검색, 브라우저 창 조정 등의 기능들을 추가
- 지원 언어를 기존의 영어 외에 한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일본어 등 7개로 확대하고, 이들 언어로 음성 검색 기능도 제공
- VR 환경에 맞게 360도 동영상 재생을 지원하는 영화관 모드와 북마크 저장 및 URL 바에서의 자동 검색 기능, 컨터롤러를 사용하여 브라우저 창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추가
12월
주요 기업
Apple,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생체인증인 FIDO2 기반의 웹인증을 지원하는 것을 테스트 중이라고 밝힘
20182018-12
Apple,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생체인증인 FIDO2 기반의 웹인증(WebAuthn)을 지원하는 것을 테스트 중이라고 밝힘
- 애플은 12월 5일 배포한 ‘사파리 테크놀로지 프리뷰 71’의 릴리즈 노트에서 웹인증 지원을 테스트 중이라고 밝힘
- 애플은 USB 보안 키 방식의 FIDO2 인증을 테스트 중이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블루투스 등 무선 통신 인증 방식에 대해서는 테스트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그 동안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웹인증 지원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애플이 사파리에서 웹인증 지원을 테스트함에 따라, 크롬과 파이어폭스, MS 엣지 등 주요 브라우저 모두에서 FIDO2 기반 웹인증 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
통계
Flash 사용 웹 사이트 비중 5.5%에서 4.1%로 지속 감소
20182018-12
웹 기술 전문조사기관인 W3Techs에 따르면,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클라이언트 측면에서 Flash를 사용하는 비중은 2017년 1월 5.5%, 2018년 1월 5.5%, 2018년 12월 4.1%로 지속 감소
- Flash 사용 비중은 2013년 1월 21.1%였으나,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018년 12월 4.1%까지 하락
통계
HTML5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의 비중은 2018년 12월 기준 75.0%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
20182018-12
전 세계 웹 사이트 중 마크업 언어로 HTML5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의 비중은 2018년 12월 기준 75.0%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
- HTML 중 HTML5의 비중은 2018년 12월 기준 88.9%를 기록
통계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 기록
20182018-12
웹 브라우저별 HTML5 수용도 조사 사이트인 HTML5test.com에 따르면, 2018년 12월 기준 주요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중 Chrome이 가장 높은 수용도 점수를 기록
- 555점 만점 기준으로, 현재까지의 버전 중 Chrome 66이 528점으로 가장 높고, Opera 45가 518점, Microsoft Edge 17이 492점, Firefox 59가 491점, Safari 11.1이 471점을 기록
- 향후 업데이트되는 버전 중에서는 Chrome 67과 68이 528점으로 가장 높고, Firefox 60이 497점, Microsoft Edge 18이 496점, Safari 11.2가 477점을 기록
2019년도 연혁
1월
주요 기업
구글, 크롬 브라우저 광고 제한
20192019-01
구글, 크롬 브라우저 광고 제한
- 미국 인터넷 광고 개선 단체 ‘The Coalition for Better Ads’의 인터넷 광고 기준 ‘더 나은 광고 표준(Better Ads Standard·이하 BAS)’는 인터넷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광고 정보를 수집
-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에 새로 도입한 광고 제한 기능을 통해 BAS 기준에 벗어난 인터넷 광고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지 못하도록 막고, BAS 기준에 맞지 않은 광고 판매를 중지
- 현재 북미와 유럽에서 제한적으로 사용중인 광고 제한 기능을 7월부터 전세계 확대 계획
통계
HTML을 활용한 웹 사이트의 비중이 84.8%를 기록
20192019-01
HTML을 활용한 웹 사이트의 비중이 84.8%를 기록
2월
주요 기업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2(HoloLens 2) 공개
20192019-02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2(HoloLens 2) 공개
- 마이크로소프트, MWC 2019 개막을 앞두고 홀로렌즈 2(HoloLens 2)를 공개
- 홀로렌즈는 스마트폰이나 PC에 연결할 필요 없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웨어러블 홀로그래픽 컴퓨터로, 혼합현실은 현실 공간을 차단하는 가상현실(VR) 기기와 달리 현실 공간에 가상 정보를 더해 주변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증강현실(AR)에 현실의 공간과 사물 정보를 파악해 거기에 맞는 3D 홀로그램을 입혀줌
- 홀로그램을 조작하는 방식을 개선해 몰입감을 높이고, 새로운 소재와 착용 방식을 적용해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키는 등 편의성 향상
3월
표준화
W3C, FIDO얼라이언스(FIDO Alliance)와 공동 개발해 온 웹 보안 기술 Web Authentication 표준 권고안(Recommendation)으로 확정
20192019-03
W3C, FIDO얼라이언스(FIDO Alliance)와 공동 개발해 온 웹 보안 기술 Web Authentication 표준 권고안(Recommendation)으로 확정
- 지문이나 홍채 등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웹 상에서 개인 인증과 신분 확인을 실행
- 웹 브라우저 제작사들이 Web Authentication API를 자사의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것은 물론, 다수의 IT 하드웨어 제조사 역시 생체정보 인증용 주변기기를 제작하기 시작했고,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PC나 노트북에 지문이나 안면인식 생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헬로(Hello) 앱 및 관련기기를 출시
4월
주요 기업
마이크로소프트, 크롬 기반 엣지 브라우저 알파버전 공개
20192019-04
마이크로소프트, 크롬 기반 엣지 브라우저 알파버전 공개
- UI(유저 인터페이스), 커스터마이징, 확장기능, 퍼포먼스 측면에서 크로뮴 엣지를 시험 가동한 결과 구 엣지보다 개선된 성능을 나타냈으며 편의성도 개선된 것으로 판단
- 인터페이스를 이전 엣지와 완전히 달리하여 구글 크롬 웹 브라우저와 비슷한 디자인이었으며 커스터마이즈와 확장기능 등의 부문에서도 크롬에 가까워진 것으로 평가
5월
표준화
HTML5.3 WHATWG에서 기술 개발 주도
20192019-05
HTML5.3 WHATWG에서 기술 개발 주도
- 앞으로 HTML과 DOM 표준 결정권을 브라우저 제작사 연합체인 WHATWG(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가 가질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동시에 향후 양 단체가 협력하기로 한 내용을 담은 MOU(양해각서)도 공개
- 웹 생태계는 대체로 웹 브라우저 제작사가 트렌드를 조성하고 이끄는 경향이 지속되었으며, 그 결과 주요 웹 브라우저 제작사인 구글, 모질라, 애플 등의 연합체인 WHATWG의 기술이 실제 웹 브라우저에 포함되는 것이 보통
- HTML과 DOM 표준 개발 과정에서 지금까지 따로 작업하던 W3C와 WHATWG가 앞으로 상호 협력하에 단일 채널을 통해 표준 개발을 진행하는데 동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결정권은 대부분 WHATWG가 가져가게 되었으며, W3C는 이를 공식적으로 인증하는 역할을 맡게 될 예정.
- 두 단체가 협력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웹 표준 결정에 혼선이 줄어들고 그로인해 웹 생태계 확장도 보다 빨라질 수 있는 토대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
표준화
W3C, 웹XR 드래프트 규격 발간
20192019-05
W3C, 웹XR 드래프트 규격 발간
- 최근 W3C가 웹XR(WebXR) 드래프트 스펙과 함께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등과 관련한 앱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웹XR 디바이스 API를 공개. W3C는 개발자들이 이 API를 통해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구동할 수 있는 몰입형 앱을 보다 편리한 환경에서 고품질로 개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 웹XR 디바이스 API는 현재 시중에 판매중인 여러종류의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기용 앱 제작에 쓰일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안드로이드 개발툴인 AR코어와 iOS 개발툴 AR킷 모두에도 사용 가능
6월
주요 기업
애플, 사파리 브라우저의 사생활 보호 기능 강화
20192019-06
애플, 사파리 브라우저의 사생활 보호 기능 강화
- 최신 버전의 사파리 웹 브라우저에 ‘Privacy Preserving Ad Click Attribution(사생활 보호 광고 클릭 기능)’을 추가한다고 발표. 이전에는 웹 브라우저 이용자가 광고를 클릭하여 관심 제품을 살펴보거나 실제 구입할 경우 웹 페이지 이동 기록을 이커머스 플랫폼 업체나 광고주가 파악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동 기능으로 인해 그와 같은 웹 브라우저 사용 내역을 알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언급
주요 기업
애플, 새로운 로그인 시스템인 ‘애플ID로 로그인’ 공개
20192019-06
애플, 새로운 로그인 시스템인 ‘애플ID로 로그인’ 공개
-이는 iOS 생태계에서 작동하는 모든 앱의 로그인을 애플에 등록한 단일 계정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앞으로 iOS용 앱을 제작하는 개발자는 해당 로그인 시스템을 자신의 앱에 적용해야 하며, 애플은 애플ID를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을 더욱 강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편의성도 개선될 것이라는 입장
주요 기업
모질라, 오픈소스 IoT 플랫폼 공개
20192019-06
모질라, 오픈소스 IoT 플랫폼 공개
- 최근 모질라가 IoT(사물 인터넷) 플랫폼 개발 팀 웹씽즈(Web Things)를 통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발표. 이번에 발표한 소프트웨어는 기기 로그인, 알림, 그리고 네트워크 연결 등에 대한 것으로, 깃허브(GitHub)에 관련 코드를 포스팅
주요 기업
모질라, 파이어폭스 버전 67.0 공개
20192019-06
모질라, 파이어폭스 버전 67.0 공개
- 메모리 관리 기능 강화, 속도도 향상과 더불어 사생활 보호 트렌드에 부합하는 새 기능도 추가
주요 기업
구글, 크롬 75 버전 업데이트
20192019-06
구글, 크롬 75 버전 업데이트
- 다크모드: 크롬74 버전에서 안드로이드용 다크모드를 처음 소개했던 구글이 이번 크롬75에서 기능을 눈에 띄게 개선. 저전력 시 다크모드, 항시 라이트모드, 항시 다크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다크모드 테마 접근도 보다 용이하게 변경.
- 패스워드 생성기 기능 : 특정 웹 페이지에 로그인 시, 패스워드 입력창에 커서를 두고 화면 하단에 패스워드 생성기(Password Generator) 탭을 누르면 구글이 자동으로 해킹 가능성이 낮은 조합의 패스워드를 만들어 표시
통계
데스크톱 PC용 웹 브라우저 제작사별 점유율
20192019-06
데스크톱 PC용 웹 브라우저 제작사별 점유율
- 구글(Google)의 크롬(Chrome)이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는 가운데 파이어폭스(Firefox) 제작사인 모질라(Mozilla)가 2위, 엣지(Edge)와 인터넷 익스플로러(IE) 제작사 마이크로소프트가 3위, 그리고 애플(Apple)의 사파리(Safari)가 4위를 잇는 추세가 계속
- 다만 1년전과 비교하여 변화된 것은 크롬의 점유율이 67%에서 70% 대로 소폭 상승한 가운데, 파이어폭스의 점유율은 11%대에서 9%대로 하락한 반면 엣지와 IE의 합산 점유율은 7%대에서 9%대로 상승.
통계
모바일용 웹 브라우저 점유율
20192019-06
모바일용 웹 브라우저 점유율
- 구글의 모바일용 크롬이 약 55%의 점유율로 1위를 지켰으며 모바일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세를 보이는 애플 사파리 모바일은 17.25%로 2위 자리를 차지. 또한 3위에 중국 알리바바의 UC브라우저, 4위에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가 차지
통계
HTML을 활용한 웹 사이트의 비중이 86.5%까지 상승
20192019-06
HTML을 활용한 웹 사이트의 비중이 86.5%까지 상승
- 이에 비해 한때 글로벌 웹 사이트 마크업 언어의 2/3 가량을 차지했던 XHTML은 올해 상반기 말 기준으로 비중이 13% 대 까지 떨어져 이제는 웹 표준 마크업 언어로써 HTML이 확고히 자리를 잡은 모습
- 같은 기간 HTML 기술 중 현재 웹 표준인 HTML5 버전을 사용하는 웹 사이트가 90%를 넘어 대부분의 웹 사이트들이 HTML로의 전환을 마친 것은 물론, 가장 최신 버전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파악
7월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DoH 지원
20192019-07
파이어폭스, DoH 지원
- 앞으로 파이어폭스의 웹 페이지 연결 기존 설정을 DoHDNS over HTTPS) 방식으로 변경할 방침. DNS 쿼리를 IP주소로 변환하는 단계에서부터 암호화를 시키는 이 기술을 모질라는 작년부터 소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앞으로는 표준으로 삼는다는 입장.
주요 기업
구글, 웹 브라우저에서 플래시 플레이어 지원 중단 시작
20192019-07
구글, 웹 브라우저에서 플래시 플레이어 지원 중단 시작
- 어도비가 2020년 말 플래시 플레이어에 대해 모든 지원 중단을 발표함에 따라 크롬 브라우저도 2020년 12월까지 플래시 플레이어를 퇴출시키기 위한 일정을 시작
- 현재 구글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기본값은 플래시 컨텐츠를 막는 형태며, 사용자가 개별 사이트에 플래시 플레이어 실행 권한을 수동으로 선택 가능
- 구글은 7월부터 위 기능을 사용할 때마다 플래시 플레이어 지원 불가 공지를 지속적으로 노출
주요 기업
모질라, '파이어폭스 리얼리티' VR 전용 웹 브라우저 공식 출시
20192019-07
모질라, '파이어폭스 리얼리티' VR 전용 웹 브라우저 공식 출시
- 파이어폭스 리얼리티 VR 웹 브라우저는 360 동영상 뷰를 지원하며, 음성 인식을 통한 검색, 동영상 모드, 강력한 개인 정보 보호 기능 등 VR 헤드셋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갖춤
8월
주요 기업
마이크로소프트, VB 스크립트 공식 퇴출
20192019-08
마이크로소프트, VB 스크립트 공식 퇴출
- 윈도우7과 윈도우8 환경에서 VB스크립트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도록 변경
-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가장 최신 버전의 윈도우인 윈도우10은 물론 엣지 웹 브라우저에서 VB스크립트 지원 중단을 시작했으며, 이번 패치로 이전 버전의 운영체제와 인터넷 익스플로러도 VB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도록 조치
주요 기업
애플, 트래킹 방지 기술 우회 금지 강력 시사
20192019-08
애플, 트래킹 방지 기술 우회 금지 강력 시사
- 애플의 웹 브라우저 사파리(Safari)의 엔진 웹킷의 개발자들이 최근 공식 포스팅을 통해 사파리의 ITP(Intelligent Tracking Prevention, 지능형 트래킹 방지) 기능을 우회하도록 웹사이트를 제작할 경우, 해당 사이트를 사파리가 외부 공격 사이트로 인식하도록 하거나 그 외 제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언급
주요 기업
크롬, FTP 지원 중단 시작
20192019-08
크롬, FTP 지원 중단 시작
- 구글이 앞으로 FTP(File Transfer Protocol) 방식을 통한 파일 송수신 연결을 크롬 브라우저에서 완전히 배제할 것이라고 발표
- FTP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온라인 파일 호스팅 방식 중 하나이지만 보안 측면에서는 많은 약점이 지적되었고, 최근 들어서 그러한 현상이 가속
- 가까운 시일 내 크롬 웹 브라우저에서 FTP 연결 지원이 완전 삭제될 예정
9월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서드파티 트래킹 금지
20192019-09
파이어폭스, 서드파티 트래킹 금지
- 파이어폭스 웹 브라우저에 웹페이지 방문 기록을 서드파티가 열람하는 등 개인정보 사용을 방지하는 기능을 추가
- 또한, 사생활 보호 기능을 기본설정으로 변경하면서 사생활 보호 정책을 더욱 강화
주요 기업
애플, 앱스토어 HTML5 가이드라인 연장
20192019-09
애플, 앱스토어 HTML5 가이드라인 연장
- 애플이 지난 6월에 개최된 WWDC(세계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HTML5를 포함한 외부 소스로 핵심 기능을 구동하던 앱의 경우 독립적인 바이너리 코드로 재프로그래밍하여 9월까지 새로 배포할 것을 지시하였으나, 이를 6개월 연장한다고 발표.
- 추가 6개월이 지난 이후에도 가이드라인을 충족하지 않은 앱의 경우는 앱상에서 결제나 송금 등 금전 거래를 완전히 금지하겠다고 언급
10월
주요 기업
창립 25주년 맞은 W3C
20192019-10
창립 25주년 맞은 W3C
- 웹 표준 설립 기구 W3C가 창설 25주년을 자축
- W3C의 노력 덕분에 웹 세계가 과도하게 상업적인 성격으로 변질되는 것을 어느정도 막은 것은 물론, 웹 대중화가 가능했다는 것이 W3C의 자체 평가
- 웹 표준 형성에 있어 구글과 같은 거대 기업의 영향력이 강하게 발휘될 수 밖에 없지만, W3C가 앞으로도 웹 사유화와 폐쇄화를 방지하기 위한 견제 활동을 계속해야 할 것으로 판단
11월
표준화
W3C, 분산형ID(DID) 관련 기술의 표준 초안을 공개
20192019-11
W3C, 분산형ID(DID) 관련 기술의 표준 초안을 공개
- 분산형ID(DID, Distributed IDentity)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는 개인 정보를 특정 서버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상호 인증 작업을 통해 개인 인증을 실행한다는 점으로, 개인 정보 유출 문제가 부각되고 정보 권한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주목
- 이전보다 분산형ID를 실제로 도입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강화되면서 앞으로의 웹은 지금과 같은 집중형ID 체계가 아닌 분산형ID 체계로 변화할 것이라는 주장이 계속 확대
주요 기업
iOS13, W3C 웹 드라이버 지원
20192019-11
iOS13, W3C 웹 드라이버 지원
- 앞으로 iOS13 환경에서 작동하는 사파리 웹 브라우저의 경우 네이티브 웹 드라이버 API를 사용 가능
- 모바일 웹 개발자도 웹 드라이버를 통해 자신이 제작한 웹 페이지나 콘텐츠를 자동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이번에 공개된 iOS용 네이티브 웹 드라이버API는 악성코드는 물론 불안정한 테스트에 대한 세이프가드 기능을 제공. 웹 드라이버 세션 상태에서 사파리가 웹 브라우징을 하는 것을 막으며, 테스트 결과는 독립적인 탭이나 저장소에 별도로 보관. 또한 테스트 상태의 탭은 다른 탭과는 다른 색깔로 표시하여 웹 드라이버가 작동중인 상태라는 것을 개발자에게 표시.
12월
표준화
W3C, 웹어셈블리 표준을 권고안(Recommendation)으로 확정
20192019-12
W3C, 웹어셈블리 표준을 권고안(Recommendation)으로 확정
- 웹어셈블리(WebAssembly)는 7월 해당 분야에서 3개 기술이 표준 후보로 선정된 이후 10월에는 웹어셈블리1.0이 예비 표준으로 지명되었고 12월에는 정식 표준으로 확정되는 등 비교적 빠른 속도로 표준화 결정
- 웹어셈블리가 자바스크립트의 느린 속도를 보완하는 것은 물론 자바스크립트와 대치하지 않고 공존이 가능하고, 앞으로 웹 브라우저 서비스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트렌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판단
주요 기업
지메일, 다이나믹 콘텐츠 지원 시작
20192019-12
지메일, 다이나믹 콘텐츠 지원 시작
- 구글 지메일(Gmail) 앱이 구글의 AMP 기능의 지원을 받아 별도의 외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고도 앱 상에서 즉시 다른 연계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업데이트를 실시
- 구글이 안드로이드와 iOS 사용자 모두에게 제공하고 있던 지메일 앱에서 앞으로 더욱 다양한 업무를 끊김없이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통계
데스크톱 PC용 웹 브라우저 제작사별 점유율
20192019-12
데스크톱 PC용 웹 브라우저 제작사별 점유율
- 크롬이 70%를 전후한 높은 비율로 큰 격차의 1위 자리를 계속 지키는 가운데, 파이어폭스가 9% 중반대로 2위를 차지하는 등 전반적으로 상반기와 유사. 그러나 엣지와 IE의 통합 점유율이 8%대로 떨어지면서 사파리에 3위 자리를 내준 점은 특이할 만한 부분
통계
모바일용 웹 브라우저 점유율
20192019-12
모바일용 웹 브라우저 점유율
- 모바일 사파리의 점유율이 상반기 17%에서 하반기 20%로 상승한 반면, UC브라우저는 13% 대에서 8%로 크게 감소
통계
HTML5 규격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해서 90%를 넘으면서, 마크업 언어의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HTML5가 점유
20192019-12
HTML5 규격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해서 90%를 넘으면서, 마크업 언어의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HTML5가 점유
- 하반기 전 기간에 걸쳐 월별 비중이 전월대비 상승했으며 11월 경 88%대에 도달. 반대로, XHTML 사용 비중은 계속해서 하락하여 12월 들어서는 12% 선이 붕괴되었고 앞으로도 XHTML의 사용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2020년도 연혁
1월
주요 기업
마이크로소프트, 차세대 ‘크로뮴 엣지’ 브라우저 공식 배포
20202020-01
마이크로소프트, 차세대 ‘크로뮴 엣지’ 브라우저 공식 배포
주요 기업
구글, 한국 클라우드(가상 저장 공간) 서비스 시장에 진출
20202020-01
구글, 한국 클라우드(가상 저장 공간) 서비스 시장에 진출
- 최근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여는 이유는 세계 최초 5G(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로 데이터 이용량이 증가하며 클라우드 신흥 시장 급부상
- LG유플러스로부터 임차한 서울 논현 IDC(인터넷데이터센터)를 통해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
2월
주요 기업
마이크로소프트, IE를 통해 유튜브 지원 중단
20202020-02
마이크로소프트, IE를 통해 유튜브 지원 중단
- 마이크로소프트(MS)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통해 유튜브에 접속할 경우 ‘이 브라우저는 곧 지원 중단됩니다. 최적의 환경을 위해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하세요’라는 문구가 출력
- 3월 이후 유튜브는 브라우저가 사용자에게 별도 재설치를 요구하지 않고 업데이트되는 ‘에버그린 브라우저’에서만 이용 가능
주요 기업
구글, 영상 광고 규제 강화
20202020-02
구글, 영상 광고 규제 강화
- 구글은 8분 이하 영상 중간광고 금지, 31초 이상 광고 건너뛰기 의무적 추가 등의 내용을 담은 새로운 동영상 광고 규정 발표
- 동영상 시청을 방해하는 광고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에 대한 조치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DoH 기본 설정으로 제공
20202020-02
파이어폭스, DoH 기본 설정으로 제공
- 모질라가 도메인네임시스템(DNS)의 통신 내용을 암호화하는 'DoH(DNS over HTTPs)' 기능을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의 기본 설정으로 제공하기 시작
3월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파일 전송 방식 'FTP 프로토콜' 지원 중단
20202020-03
파이어폭스, 파일 전송 방식 'FTP 프로토콜' 지원 중단
주요 기업
애플 사파리, 서드파티 쿠키 차단
20202020-03
애플 사파리, 서드파티 쿠키 차단
- 13.1버전 업데이트…지능형 트래킹 방지 기능 탑재
4월
주요 기업
네이버 웨일, 한글뷰어 기본 탑재
20202020-04
네이버 웨일, 한글뷰어 기본 탑재
-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 한글 문서파일(.hwp)을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확인 가능
주요 기업
비발디 브라우저, 통합 광고 차단과 추적 방지 기능을 포함한 비발디 애플리케이션 버전 3.0을 출시
20202020-04
비발디 브라우저, 통합 광고 차단과 추적 방지 기능을 포함한 비발디 애플리케이션 버전 3.0을 출시
- 비발디는 모질라와 마찬가지로 추적 방지(anti-tracking)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검색엔진으로 더 잘 알려진 덕덕고(DuckDuckGo)로 전향
표준화
W3C, 사물웹(Web of Things) 관련 표준안 2건 채택
20202020-04
W3C, 사물웹(Web of Things) 관련 표준안 2건 채택
- Web of Things (WoT) Architecture, Web of Things (WoT) Thing Description
- 사물인터넷 생태계에서 기술적 통일성을 제고하고 각기 다른 사물인터넷 구성원이 공통으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함
5월
주요 기업
구글, 일부 안드로이드 앱을 크롬북용 PWA로 대체하는 중
20202020-05
구글, 일부 안드로이드 앱을 크롬북용 PWA로 대체하는 중
- 구글은 이전에도 사용자가 PWA(프로그레시브 웹앱)를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했었으나, 이번과 같이 앱 우선순위에서 PWA가 기존 앱을 앞서도록 조치
- PWA는 안드로이드 앱보다 낮은 사양의 하드웨어에서도 더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앱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
주요 기업
애플, 웹 보안 표준 및 기술 연구 그룹인 FIDO 얼라이언스에 합류
20202020-05
애플, 웹 보안 표준 및 기술 연구 그룹인 FIDO 얼라이언스에 합류
- 생체인증 부문에서 많은 경험과 높은 시장 인지도를 지닌 애플이 FIDO 얼라이언스에 합류하였기에 웹 보안 부문에서 FIDO 얼라이언스의 영향력이 더울 커질 것으로 전망
표준화
IAB유럽이 서드파티 쿠키 사용을 금지한 이후의 웹 생태계와 관련한 포괄적 가이드라인을 제시
20202020-05
IAB유럽이 서드파티 쿠키 사용을 금지한 이후의 웹 생태계와 관련한 포괄적 가이드라인을 제시
- IAB유럽은 지금까지는 온라인 타깃광고와 맞춤형 광고를 위해 개인의 인터넷 사용 기록인 쿠키를 서드파티들도 비교적 자유롭게 활용했으나 개인정보 보호 강화로 인해 쿠키가 아닌 새로운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
주요 기업
IPFS(분산형 파일 시스템) 최신 버전인 IPFS 0.5가 업데이트
20202020-05
IPFS(분산형 파일 시스템) 최신 버전인 IPFS 0.5가 업데이트
- IPFS 프로토콜은 웹3.0의 근간인 분산형 웹(decentralized web)을 구동하는 기본 시스템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아키텍쳐. 블록체인 기술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를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HTTPS 프로토콜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근 연구 개발에 속도가 붙은 상황
주요 기업
구글, 배터리 소모 광고 차단 예정
20202020-05
구글, 배터리 소모 광고 차단 예정
- 올해 8월부터 모바일로 구글 크롬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경우, 기기의 성능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는 광고는 자동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될 예정
6월
주요 기업
모질라, 모질라가 파이어폭스 리얼리티10을 업데이트하면서 웹 XR기능 강화
20202020-06
모질라, 모질라가 파이어폭스 리얼리티10을 업데이트하면서 웹 XR기능 강화
- 파이어폭스 리얼리티10이 웹XR을 정식으로 지원하기 시작, 크로스 디바이스(Cross Devices) 지원이 강화되었고,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해 VR 웹 서핑과 VR 컨텐츠 이용이 가능
주요 기업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제공하는 VPN 기능 유료화
20202020-06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제공하는 VPN 기능 유료화
- 개인 사생활 보호 및 익명성 강화롸 관련한 성능 개선에 포커싱
주요기업
마이크로소프트, 블레이저 웹어셈블리(Blazor WebAssembly)라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발표
20202020-06
마이크로소프트, 블레이저 웹어셈블리(Blazor WebAssembly)라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는 동영상 및 이미지 재생용 플러그인으로 자사의 자체 개발 솔루션 실버라이트를 사용해 왔으나, 웹 표준과 동떨어진 구로 사용 비중이 높지 않는 등에 따라 2021년 10월 12일을 지원 종료일로 선언하고, 웹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개발용 프레임워크인 블레이저 웹어셈블리를 소개
주요 기업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사용자를 대상으로 일괄적으로 엣지 브라우저를 기존 구형 엣지에서 신형 엣지로 업데이트
20202020-06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사용자를 대상으로 일괄적으로 엣지 브라우저를 기존 구형 엣지에서 신형 엣지로 업데이트
주요 기업
유튜브, 유튜브에 브라우징 가능한 제품 이미지를 보여주는 광고 기능 적용
20202020-06
유튜브, 유튜브에 브라우징 가능한 제품 이미지를 보여주는 광고 기능 적용
- 광고 시청자 역시 비디오 광고만으로는 구체적인 상품 카테고리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없었는데 이미지를 통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보여주는 것이 의사 결정과 시간 절약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며, 일부 업체의 경우 매출 25% 증가 결과를 나타내기도 함
통계
PC용 웹 브라우저 크롬 : 68.33%, 사파리 9.40%, 파이어폭스 8.91% 등
20202020-06
PC용 웹 브라우저 크롬 : 68.33%, 사파리 9.40%, 파이어폭스 8.91% 등
표준화
상반기 : 웹접근성, 몰입형 웹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20202020-06
상반기 : 웹접근성, 몰입형 웹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 사회적 이슈에 따라 W3C에서도 웹 접근성 표준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보강하거나 웹 접근성이 향상된 웹 사이트 제작에 필요한 여러 기술들에 대한 표준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
- 미디어 표준은 주로 동영상 기술, 음성 관련 기술, 그리고 자막과 같은 동영상 경험 보조 기술 표준에 이미지 처리 기술 표준 등도 논의 되는 등 동영상과 관련한 다양한 부문에 걸쳐 기술적 토의가 진행
- 몰입형 웹은 AR(증강 현실)과 VR(가상 현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웹을 온라인 공간에만 머물게 하지 않고 현실과 접목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을 찾아 웹 경험에 몰입감을 더해 주는 모든 기술과 관련한 것으로, 향후 현실과 온라인의 경계를 허무는 다양한 콘텐츠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위한 기술 표준을 먼저 다듬어야 관련 분야가 더욱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W3C의 입장
7월
주요 기업
애플, 보안 이슈로 일부 API 사용 거부
20202020-07
애플, 보안 이슈로 일부 API 사용 거부
- 사생활 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몇몇 웹 기술을 사파리 생태계에서 배제하기로 결정
주요 기업
구글, 파이어폭스, 새로운 이미지포맷(AVIF) 지원
20202020-07
구글, 파이어폭스, 새로운 이미지포맷(AVIF) 지원
- 비디오 코덱을 기반으로 한 압축 이미지 포맷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 넷플릭스가 지지의사를 밝혔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10 앱의 기본 이미지 포맷으로 사용하면서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8월
주요 기업
오큘러스 브라우저, 손 움직임으로 브라우저 조작 가능
20202020-08
오큘러스 브라우저, 손 움직임으로 브라우저 조작 가능
- 최근 오큘러스는 자사의 하이엔드급 VR헤드셋 오큘러스 퀘스트(Quest)의 브라우저를 업데이트.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개별적인 손가락의 움직임을 모두 추적하는 제스쳐 트래킹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오큘러스는 해당 기능이 앞으로 웹XR(WebXR) 프로젝트에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트래킹 방지 기능 강화
20202020-08
파이어폭스, 트래킹 방지 기능 강화
- 모질라가 최신 파이어폭스 최신 버전인 파이어폭스79를 배포하기 시작. ETP(Enhanced Tracking Protection, 강화된 트래킹 보호 기능)를 업데이트함
주요 기업
마이크로소프트, IE 지원 완전 중단 예고
20202020-08
마이크로소프트, IE 지원 완전 중단 예고
- 마이크로소프트가 구형 웹 브라우저(IE와 구형 엣지 브라우저) 업데이트 중지 예고하고 올해 출시한 크로뮴 기반의 엣지 업데이트를 활발히 진행
9월
주요 기업
비발디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 휴식모드 기능 소개
20202020-09
비발디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 휴식모드 기능 소개
- 비발디 브라우저의 좌측 상단에 있는 상태 바를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휴식 모드로 들어가면서 그동안 작동하던 HTML5 규격의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리밍이 모두 정지하는 것은 물론, 띄워 놓은 탭 화면도 공란(blank)으로 전환
- 휴식 모드를 통해 사용자는 띄워 놓은 탭을 일일이 끄지 않아도 인터넷 작동을 일시적으로 완전히 중지시켜 재택근무에 집중이 필요하다거나 잠시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다운로드 보안 기능 소개
20202020-09
파이어폭스, 다운로드 보안 기능 소개
- 새로운 파이어폭스 버전에서 기존적으로 샌드박스 i프레임 파일 전송을 차단할 방침
- 이와 같은 조치는 해커가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무차별적으로 행하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을 크게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주요 기업
모질라, 파이어폭스 센드와 노트 서비스 종료
20202020-09
모질라, 파이어폭스 센드와 노트 서비스 종료
주요 기업
애플, iOS 기본 웹 브라우저(사파리)를 변경 설정 가능
20202020-09
애플, iOS 기본 웹 브라우저(사파리)를 변경 설정 가능
- iOS14 다운로드를 공개하고,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기기의 기본 웹 브라우저(사파리)를 다른 브라우저(크롬 등)로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함
10월
주요 기업
페이스북, 오큘러스 퀘스트2 판매 시작
20202020-10
페이스북, 오큘러스 퀘스트2 판매 시작
- 페이스북은 VR 헤드셋과 관련 앱을 대중화하기 위해 오큘러스 브랜드를 인수. 이후 페이스북 리얼리티 랩(Facebook Reality Labs)이 VR 관련 개발을 전담하였고 VR 오피스 앱을 출시하는 등 VR 보급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
주요 기업
안드로이드용 토르 브라우저 배포
20202020-10
안드로이드용 토르 브라우저 배포
주요 기업
클라우드플레어, 브라우저 아이솔레이션 제안
20202020-10
클라우드플레어, 브라우저 아이솔레이션 제안
-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웹 브라우징 연산을 웹 브라우저 사용자의 개별 PC나 모바일 기기의 시스템이 아닌 클라우드 상에서 처리하는 “브라우저 아이솔레이션(Browser isolation)” 기술을 새로 공개했으며 베타 서비스를 개시
- 브라우저 아이솔레이션은 웹을 이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 요소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가상 머신 안에 고립시켜 처리하며, 웹 브라우저 사용자에게는 사용자가 열람을 원하는 웹 페이지의 렌더링 최종 결과물만을 제공
11월
주요 기업
브레이브 브라우저, 트래킹 보호 기능 강화
20202020-11
브레이브 브라우저, 트래킹 보호 기능 강화
- 브레이브 브라우저가 사용자를 CNAME 클로킹에서 보호하도록 업데이트할 예정
- 외부에서 CNAME을 마치 퍼스트 파티인 것처럼 위장하여 웹 브라우저로 침투하는 방식이 CNAME 클로킹이며 브레이브 브라우저 1.17버전부터 CNAME 클로킹을 자체적으로 막을 것
주요 기업
파이어폭스, 멀티 PIP 기능 업데이트 예정
20202020-11
파이어폭스, 멀티 PIP 기능 업데이트 예정
- PIP(Picture-In-Picture) 기능은 동일한 탭에서 동영상을 계속 보도록 강요받지 않기 때문에 동영상을 보면서 다른 부가 업무를 할 수 있고 이는 멀티태스킹 편의성과 동영상 시청 시간 증가로 연결
- 이전까지는 PIP로 띄울 수 있는 동영상 갯수가 하나였지만 앞으로는 2개 이상의 동영상을 브라우저 창에서 동시에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할 계획
주요 기업
구글, 음성 검색 테스트
20202020-10
구글, 음성 검색 테스트
표준화
W3C 웹 페이먼트 그룹, 첫 워킹 페이퍼 등록
20202020-10
W3C 웹 페이먼트 그룹, 첫 워킹 페이퍼 등록
- W3C, FIDO얼라이언스, EMVCo가 웹 페이먼트 기술과 관련하여 첫 합동 워킹 페이퍼 발간
- W3C의 페이먼트 리퀘스트 API, FIDO 얼라이언스의 FIDO2 프로토콜, 그리고 EMVCo의 시큐어 리모트 커머스(SRC)/3D 시큐어(3DS)/웹 토큰 등을 기반으로 한 웹 페이먼트 표준 워킹 페이퍼를 발간
- FIDO2 인증 방식을 W3C의 API와 EMVCo의 각종 거래 프로토콜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12월
주요 기업
플래시 수명 종료
20202020-12
플래시 수명 종료
- 플래시 플레이어 개발사인 어도비(Adobe)는 2020년 12월을 끝으로 각종 업데이트는 끝나게 되면 2021년 1월부터는 보안 등 필요한 기술적 지원이 더 이상 없을 예정
- 어도비의 경우 2020년을 끝으로 플래시의 다운로드 자체를 막을 것이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엣지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두 전 버전에 걸쳐 플래시가 작동하지 않도록 조치할 계획
통계
크롬 67.71%, 사파리 9.83%, 엣지(+IE) 9.37%로 파이어폭스 점유율이 7.95%로 무너지면서 그 자리를 엣지가 차지
20202020-12
크롬 67.71%, 사파리 9.83%, 엣지(+IE) 9.37%로 파이어폭스 점유율이 7.95%로 무너지면서 그 자리를 엣지가 차지